실시간 랭킹 뉴스

[르포]가수 '승리' 갔던 클럽도 폐업…캄보디아 '프린스'의 몰락[영상]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온라인 스캠' 범죄 단지 운영 의혹
본사 등 간판 떼고 직원들 '모르쇠'
승리 방문했던 '클럽' 폐업에 경비만
계열 은행 '뱅크런' 등 위기 가시화
'훈센 고문' 회장 천즈도 종적 감춰
서울경찰청 전담팀 '첩보' 수집 개시
국내은행은 프린스그룹 예치금 동결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운영 클럽 '프린스브루잉' 앞에서 경비원이 "문 닫았다"며 출입을 제지하고 있다. 남성경 크리에이터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에 위치한 프린스그룹 운영 클럽 '프린스브루잉' 앞에서 경비원이 "문 닫았다"며 출입을 제지하고 있다. 남성경 크리에이터
캄보디아 내 대표적인 범죄 단지인 '태자 단지' 등 다수의 온라인 스캠 단지를 운영해 온 의혹에 휩싸인 중국계 캄보디아 기업 프린스그룹(프린스홀딩스)이 '흔적지우기'에 나선 정황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중국계 캄보디아인으로 그룹의 회장인 천즈(38)도 종적을 감췄다.

창사 10년 만에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부동산, 건설, 금융 등 각종 계열사를 거느린 대형 민간 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이 음지에선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사기 범죄의 근거지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존폐 위기에 처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미국과 영국 정부는 프린스그룹을 초국적 범죄조직으로 지정하고 제재 대상에 올렸다.

19일 오후 방문한 프린스그룹 본사 외벽(오른쪽)의 간판이 떨어져 있는 모습. 왼쪽이 원래의 모습이다. 프린스그룹·남성경 크리에이터19일 오후 방문한 프린스그룹 본사 외벽(오른쪽)의 간판이 떨어져 있는 모습. 왼쪽이 원래의 모습이다. 프린스그룹·남성경 크리에이터
지난 19일 오후(현지시각)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중국인 밀집 지역 코 피치에 위치한 프린스그룹(프린스홀딩스)의 본사는 한산했다. 건물의 불은 대부분 꺼져 있었고, 1층의 카페만 영업 중이었다. 눈에 띄는 건 그룹의 간판이 앙상한 뼈대만 남아있었다는 점이다. 원래는 황금색 'PRINCE'란 글씨가 위쪽으로 서 있고, 색깔 있는 왕관 모양 로고가 입체적으로 달려 있었으나, 현재는 로고를 지탱하던 철근만이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현지 교민 등에 의하면 최근 1~2주 전만 해도 로고가 남아있었다고 한다. 이곳 본사뿐 아니라 시내의 대형 주상복합인 '프린스플라자' 등도 똑같이 간판이 떨어진 상태였다.

더 이상한 건 건물 직원들의 반응이었다. 로비 데스크의 직원에게 "여기가 프린스그룹 맞냐"고 묻자 고개를 저으며 "잘 모르겠다"는 이해할 수 없는 답변만 돌아왔다. 건물 사진을 찍으려 하자 경비원이 황급히 나와 "찍지 말라"고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왜 못찍게 하냐"고 묻자 경비원은 "위에서 시키는 대로 할 뿐"이라고 답했다.

경비원은 "프린스브루잉은 폐업했다"고 했지만, 여전히 로고가 붙어 있는 모습. 남성경 크리에이터경비원은 "프린스브루잉은 폐업했다"고 했지만, 여전히 로고가 붙어 있는 모습. 남성경 크리에이터
이번엔 캄보디아의 3륜 오토바이 택시인 '툭툭'을 타고 본사로부터 5분쯤 떨어진 위치의 '프린스브루잉'에 도착했다. 이곳은 프린스그룹에서 운영한 클럽 겸 펍으로 가수 승리가 지난해 이곳을 방문해 "내가 캄보디아에 간다고 하니 주변에서 위험하지 않느냐고 묻더라", "X이나 먹어라. 캄보디아는 아시아에서 가장 훌륭한 국가"라고 발언한 동영상이 찍혀 화제가 된 곳이다.

문을 지키고 있는 경비원에게 '들어갈 수 있냐'고 묻자 고개를 저었다. 경비원은 "프린스브루잉은 문을 닫았고, 지금은 새 사장이 인수해 나중에 다시 오픈한다"며 막아 섰다. 경비원 뒤로 건물 곳곳엔 미처 떼어내지 못한 프린스브루잉 로고가 여전히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계열 은행은 '뱅크런'…미·영 프린스그룹 관련 계열사 117곳에 제재

프린스그룹의 흔적지우기가 이미 지난해부터 시작됐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의 공영 매체인 자유아시아방송(RFA)는 지난해 초 프린스그룹의 국제 범죄 의혹과 관련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실제 캄보디아의 남쪽 해양 도시 시아누크빌에 위치한 대형상가 '프린스몰'은 몇 개월 전 '유(U)몰'로 이름을 바꿨다. 지난 17일 오후 직접 시아누크빌을 찾은 취재진은 유몰 인근에서 미처 처리하지 못한 '프린스몰' 소형 간판을 확인하기도 했다. 현지 교민은 "외신에서 프린스그룹의 온라인 사기 관련 보도가 나와 떠들썩한 직후에 쇼핑몰 이름이 바뀐 것으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현지에선 프린스그룹과 관련한 위기가 이미 가시화된 상태다. 금융 계열사 프린스뱅크에선 최근 "범죄로 국제적 제재를 받는 기업에 돈을 어떻게 맡기느냐"며 예금주들이 대거 빠져나가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이 발생해,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에서 공식적으로 개입하기도 했다.

부동산, 건설 등 타 분야 사업에서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영국은 프린스그룹과 관련한 계열사를 117곳으로 규정하며 이곳 모두에 대해 제재를 적용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과 관련된 회사, 장소 등이 줄줄이 이름을 바꾸거나 폐업 등의 절차를 밟는 것이 우연으로 보이진 않는다.

중국계 캄보디아인으로 프린스그룹 회장인 천즈. 연합뉴스중국계 캄보디아인으로 프린스그룹 회장인 천즈. 연합뉴스
회장 천즈의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 그가 지난해 12월 돌연 프린스뱅크 이사회 의장직에서 물러난 이후로 소재 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현지 매체, 외신 등의 보도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미국과 영국의 제재 등을 의식한 캄보디아 정부가 천즈와 프린스그룹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곤경에 처해 있다는 추정이 나온다.

반면 천즈가 캄보디아 정부의 충분한 보호를 받고 있을 거란 분석도 있다. 그는 캄보디아의 최고 권력자인 훈센 전 총리의 고문을 역임하는 등 권력망과의 결속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캄보디아 정부는 프린스그룹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제출되길 바란다"면서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미국과 영국은 프린스그룹이 캄보디아에 최소 10개의 온라인 사기 센터를 운영하면서 전 세계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들을 유인해 감금, 고문한 뒤 온라인 사기를 강요하는 수법으로 막대한 수익을 얻어왔다고 보고 있다. 양국은 자국 내 프린스그룹의 자산을 동결하고, 천즈가 소유한 약 150억 달러(한화 약 2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 12만7271개를 몰수할 예정이다. 미 법무부는 천즈를 온라인 금융사기 및 자금세탁 등의 혐의로도 기소했다.

우리 정부도 이달 중 프린스그룹을 비롯한 범죄 조직 연관 기업들에 대한 금융 제재를 검토 중이다. 또 경찰은 서울경찰청에 프린스그룹 전담팀을 구성해 관련 첩보를 수집중이다. 구체적인 범죄 혐의를 아직 포착한 것은 아니지만, 수집되는 정보 등을 토대로 국내에서도 범행에 연루됐을지 살펴보고 있다. 또 KB국민·전북·우리·신한은행 등 국내은행들은 프린스 그룹의 예치금 잔액은 912억원을 동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