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경남 1호 기회발전특구 '흔들'…경남도·고성군 "SK오션플랜트 매각 반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이상근 고성군수 "군민 배신감 안겨, 지역경제 침체 우려"
경남도 "지역산업 근간 흔들어, 애초 사업 계획대로 추진해야"
SK에코플랜트, SK오션플랜트 인수 3년 만에 사모펀드 운용사 매각 추진

이상근 경남 고성군수 기자회견. 최호영 기자 이상근 경남 고성군수 기자회견. 최호영 기자 
경남의 1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고성군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의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기지 조성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할 앵커기업인 SK오션플랜트의 매각 추진이 현실화되고 있고, 자칫 기회발전특구 지정 해제가 검토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이에 경상남도와 고성군은 "지역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며 SK오션플랜트의 매각에 반대했다.

이상군 고성군수는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SK에코플랜트가 SK오션플랜트 지분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데 대해 "매각 결정을 전면 재고하거나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 군수는 "SK오션플랜트가 해상풍력이라는 미래산업을 중심으로 새롭게 출발할 때 '오랜 가뭄 끝의 단비'처럼 환영했고, 지역 경제를 견인하고 인구감소 문제를 해소할 핵심 동력이라 평가하며 행정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며 "지분 매각은 군민에게 감히 짐작할 수 없는 큰 충격과 배신감을 안겼다"고 지적했다.

이 군수는 1조 원 규모의 투자이행 불확실과 지역경제 침체 우려, 고용불안과 지역상생 불투명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 우려 등을 설명하며 "SK에코플랜트가 인수 3년 만에 보유 주식을 전량 매각해 투자비를 회수하려는 모습은 지역과의 상생보다는 단기적 이익을 우선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강한 유감과 실망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SK에코플랜트와 SK그룹이 매각 결정을 신중히 재검토하거나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도 역시 매각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며 기존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를 애초 사업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는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매각이 현실화되면 현재 60% 공정률로 진행 중인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 조성사업에 차질을 빚을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근로자 고용승계와 협력업체 계약 유지 불확실성, 상부시설 등 5천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 차질, 특구 해제 검토 등을 우려하며 "기업 경영의 판단이 지역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도와 고성군은 기존 계획대로 추진을 요구하며 앞으로 적극 대응하겠다는 뜻도 나타냈다.

해상풍력 특화 생산기지 조감도. 경남도청 제공 해상풍력 특화 생산기지 조감도. 경남도청 제공 
모회사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22년 고성의 삼강엠엔티를 인수했다. 다음 해 삼강엠엔티의 사명을 SK오션플랜트로 바꾸고 해상풍력 분야 사업을 확장했다.

SK오션플랜트는 2023년 해상풍력 구조물 특화 생산기지를 건설하고자 장기간 표류 중이던 고성조선해양산업특구였던 고성 양촌·용정일반산단에 1조 원 규모의 투자를 확정했다. 이 산단은 애초 조선해양산업특구로 지정됐지만, 장기간 산단 조성이 중단된 곳이다. 지난해에는 경남 1호 기회발전특구로도 지정됐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 기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지만, 인수 3년 만에 매각이 추진되면서 지역민의 반발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9월 1일 SK오션플랜트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디오션자산운용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공시했다. 디오션자산운용은 지난해 설립된 신생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STX그룹 강덕수 전 회장 등이 설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