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제공지난달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수입 물가가 석 달 연속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5.43으로, 8월(135.21)보다 0.2%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 2월부터 다섯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7월(+0.8%) 반등해 석 달 연속 상승했다.
원재료는 천연가스 등 광산품(-0.2%)을 중심으로 0.1% 내렸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1.3%),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0.7%) 및 석탄및석유제품(1.3%)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자본재는 0.2% 하락했고, 소비재는 0.1%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7.6%), 기타귀금속정련품(4.5%), 제트유(3.4%), 신선수산물(3.4%), 동정련품(3.1%), 베어링(2.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한은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수입 물가가 올랐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8월 평균 1389.66원에서 9월 1391.83원으로 0.2%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9.39달러에서 70.01달러로 0.9% 올랐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지난달 수입물가는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올랐고,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석탄및석유제품,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제공9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8월(128.69)보다 0.6% 오른 129.50으로 집계됐다.
수출 물가 역시 석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0.6% 상승했고, 공산품은 석탄및석유제품(2.1%),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0.7%) 등을 중심으로 0.6%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은괴(12.3%), 동정련품(3.4%), 경유(3.3%), 제트유(3.3%)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9월 무역지수(달러 기준)는 수입물량지수(124.50)가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 상승했고, 수입금액지수(144.63)는 7.8% 올랐다.
수출은 물량지수(137.23)와 금액지수(152.00)가 각각 14.4%, 12.0% 상승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5.34)는 지난해 동월 대비 3.2% 올라 2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입가격(-5.2%)이 수출가격(-2.1%)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소득교역조건지수(130.84)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3.2%)와 수출물량지수(14.4%)가 모두 올라 전년 동월 대비 18.1%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