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IMF "올해 韓경제 0.9%로 상향조정…내년 1.8%로 반등"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IMF, 세계 경제는 올해 3.2%, 내년 3.1% 성장 전망
美中 관세유예 조치 향후 발효되지 않을 것 전제한 예측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황진환 기자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황진환 기자
IMF(국제통화기금)이 한국 경제가 올해 0.9%, 내년 1.8%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14일(미국 워싱턴 D.C. 현지시각) 발표한 '10월 WEO'(World Economic Outlook, 세계경제전망)에서 이처럼 밝혔다.

IMF는 매년 네 차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과 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발표하고, 1월과 7월은 한국을 비롯한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한 전망치를 발표한다.

이번 전망에서 IMF가 제시한 한국의 올해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 0.9%는 지난 7월 WEO 업데이트에서 발표했던 전망치 0.8%보다 0.1%p 높다. 내년 성장률 전망 1.8%는 종전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결과다.

앞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에 대해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은 IMF와 마찬가지로 0.9%를, KDI(한국개발연구원)은 0.8%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1.0%를 각각 전망한 바 있다.

'임대안내' 안내문이 부착된 서울 명동거리 모습. 황진환 기자'임대안내' 안내문이 부착된 서울 명동거리 모습. 황진환 기자
이번 전망과 관련, 앞서 지난달 한국에서 연례협의(Article IV Consultation)를 마친 IMF 라훌 아난드(Rahul Anand) 미션단장은 "보다 완화된 재정·통화 정책에 힘입어 국내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견조한 대외 반도체 수요가 다른 수출의 감소를 상쇄하면서 0.9%를 기록"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불확실성 완화, 완화적 정책의 효과 본격화 및 기저효과 등으로 실질 GDP는 1.8%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IMF는 올해 세계 경제가 지난 7월보다 0.2%p 상향조정된 3.2%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내년은 기존 전망과 마찬가지로 3.1% 성장한다고 발표했다.

IMF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무역경로 재편 등을 통해 보여진 경제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전망은 현재 수준의 관세가 지속되고, 다음 달 10일까지인 미중 관세유예 조치가 향후 발효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한 결과다.

기획재정부 제공기획재정부 제공
한국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국이 포함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보다 0.1%p 오른 1.6%로 상향조정됐고, 내년 성장률은 1.6%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IMF는 미국 경제에 대해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으로 올해와 내년 모두 0.1%p 올라 각각 2.0%, 2.1%씩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유로존은 아일랜드의 견조한 성장, 독일의 민간 소비 회복 등으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0.2%p 오른 1.2%로 예상됐지만, 내년에는 반대로 0.1%p 떨어진 1.1%로 예상해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7개국(G7)과 유로존을 제외한 기타 선진국은 일부 국가의 대미(對美) 무역협상 타결, 실질 임금 인상에 따른 소비 개선 등에 힘입어 올해 성장률이 0.2%p 상향 조정된 1.8%로 예측됐지만, 내년 전망치는 0.1%p 떨어진 2.0%에 그칠 전망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개도국 155개국의 올해 성장률도 지난 7월보다 0.1%p 높은 4.2%로 전망됐고, 내년 전망치는 4.0%로 유지됐다.

중국은 조기 선적, 재정 확장정책이 무역 불확실성‧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함에 따라 올해와 내년 모두 기존 전망 수준을 유지해 각각 4.8%, 4.2%로 전망됐다.

인도는 서비스업 등 상반기 실적 호조의 영향으로 올해 전망은 6.6%로 0.2%p 상향조정됐지만, 내년부터는 미국 관세 조치의 영향이 본격화돼 기존 전망보다 0.2%p 떨어진 6.2%에 불과할 것으로 봤다.

세계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예상됐다. 선진국의 경우 올해 물가상승률이 7월과 마찬가지로 2.5% 전망이 유지됐지만, 신흥국은 0.1%p 떨어진 5.3%로 전망됐다.

특히 미국의 경우 올해 하반기부터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전가되기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올해는 미국 정부 목표치를 상회한 2.7%를 기록하고, 2027년에야 2% 목표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과 AI(인공지능)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 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화하면서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노력을 권고했다.

먼저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규칙 기반의 산업정책 설계와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정 측면에서는 세입 확충‧지출 효율화를 통해 재정 여력을 회복하고, 명확한 기준점(fiscal anchor)를 포함한 중기재정 프레임워크를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금융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하면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할 것을 촉구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