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원·달러 환율이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로 한때 1430원을 돌파하면서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섰다. 시장에서는 지난 4월 관세전쟁 때보다 추가 상승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13일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0원 오른 1430.0원에 출발했다가 1434원대까지 올랐다. 지난 5월 2일(1440.0원) 이후 5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 급등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까지 재점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최근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미국은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다음 달부터 부과하겠다고 맞대응했다.
우리은행 민경원 연구원은 같은 날 오전 "무역전쟁 리스크 재부상에 1430원 상향 돌파를 예상한다"며 "원화의 경우 무역전쟁, 위험선호 위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약세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1420원 2차 저항선 붕괴로 연휴간 예열된 역외 롱플레이(매수세)까지 가세하면서 장중 상방 변동성 확대로 연결될 수 있다"고 봤다.
외환당국은 당일 구두개입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공동으로 기자단에 "외환당국은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의 쏠림 가능성 등에 경계감을 가지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시장 개입 메시지가 나오면서 환율은 1425.8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올해 들어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00원대를 훌쩍 넘어서면서 약달러 기조에도 원화 약세가 두드러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연초 대비 8.9% 하락했다. 최근 약 다섯 달 동안 100선 아래 머무는 중이다. 올해 초 1460원대였던 환율은 미국발 관세 여파로 지난 4월 1487원까지 오른 뒤 역시 지난 5월부터 1300원대 중후반으로 다소 내려갔다.
그러다 지난달 하순부터 1400원선을 돌파했다. NH투자증권 권아민 연구원은 "원화는 추석 연휴동안 일본 엔화와 동조화되며 큰 폭의 약세를 기록했는데, 달러/엔 환율 상승 되돌림에도 미중 무역분쟁 우려가 고조되자 재차 상승 압력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증권가는 다만, 지난 4월 미중 무역갈등 격화 때와는 달리 추가 상승 압력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 일단 양국이 극단적 관세 전쟁을 장기화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에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다", "그(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는 자기 나라가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나 역시 마찬가지"라고 썼다.
환율이 높게 유지되면 인플레이션과 자본 유출 등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일반론이다. 과거에는 수출 기업의 채산성(이익 마진)이 향상된다는 분석도 있지만 최근 관세 전쟁에 따른 글로벌 무역 둔화가 우려되면서 생산자 물가만 올리는 효과가 두드러질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다만, 최근 국내에서는 고환율과 동시에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며 강세장이 펼쳐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4월과 달리 현재 환율 레벨에서 더 오를 요인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과 미국은 오는 15일 재무장관 회담을 통해 한미 통화스와프를 포함한 관세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최종적으로 국익 우선, 실용에 입각한 타결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베센트 (미 재무) 장관에게서 우리 외환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내부적으로 논의를 하겠다는 답변은 받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