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여서 프로젝트 이미지. 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KAIST연구진이 세계 유일의 여성문자 체계인 '여서(女書)'에 인공지능을 접목시킨 미디어 작품으로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에서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KAIST에 따르면 산업디자인학과 이창희 교수 연구팀이 영국왕립예술학교 알리 아사디푸어 컴퓨터과학연구센터장과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 'AI 여서'를 통해 세계 최고 권위의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인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2025'에서 디지털 휴머니티 부문 영예상에 선정됐다.
수상작인 'AI 여서'는 문자 교육에서 배제된 중국 여성들이 서로의 삶을 기록하고 소통하기 위해 창조한 세계 유일의 여성 문자 '여서(女書)'를 기반으로 한다.
'여서'는 중국 후난성에서 19세기 무렵부터 한자 교육에서 배제된 여성들이 독창적으로 창조한 여성 문자 체계다.
KAIST 연구진과 협력진은 이를 컴퓨터 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과 접목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설치 작품을 만들었다.
작품 속 인공지능은 전근대 중국 여성들의 소통 방식을 학습해 스스로 새로운 언어를 생성한다. 이는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자, 서구 중심 언어관을 넘어서는 페미니즘적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인간만이 언어를 만든다'는 고정관념을 넘어, 기계가 새로운 언어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술적으로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창희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역사·인문·예술·기술이 만나 빚어낸 사색적 예술이 세계적인 권위 있는 상으로까지 이어져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한편,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는 '미디어아트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며, 매년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미디어아트 경연대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