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일본이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에 이어 노벨화학상까지 차지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금속·유기 골격체(MOF·Metal-Organic Frameworks)를 개발한 공로로 일본 교토대의 기타가와 스스무 교수, 호주 멜버른대의 리처드 롭슨 교수, 미국 UC버클리의 오마르 M. 야기 교수를 2025년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일본은 지난 6일 발표된 노벨생리의학상에서 오사카대 사카구치 시몬 교수가 수상한 데 이어, 같은 해 화학상에서도 자국 학자가 이름을 올리게 됐다.
노벨위원회는 "세 수상자가 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를 결합해 만든 결정성 다공성 물질인 MOF를 설계하고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MOF는 내부에 분자가 드나들 수 있는 큰 빈 공간을 지녀, 기체 저장·분리, 촉매, 센서, 약물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원회는 "연구진은 이 넓은 공간을 활용해 사막의 공기에서 물을 얻고, 물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수소를 저장하는 등 혁신적인 응용 사례를 제시했다"며 "금속·유기 골격체는 매우 유용한 물질로, 화학자들이 수만 가지의 새로운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상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들의 기초 연구가 수십 년 만에 재조명된 사례로 평가된다. 하이너 린케 노벨화학상 위원장은 "MOF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맞춤형 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며, 엄청난 과학적·산업적 잠재력을 지닌다"고 강조했다.
노벨화학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이 사망한 12월 10일 열리며, 올해 상금은 총 1100만 스웨덴크로나(약 16억6천만원)로 세 수상자가 균등하게 나눠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