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국민의힘이 당시 감리업체와 배터리 제조사 직원 등의 상주 여부를 명확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 긴급대응 태스크포스(TF)'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자원 화재가 난지 벌써 닷새째인데 왜 인력 발표가 여전히 오락가락하느냐"고 비판했다.
박덕흠 위원장은 "사고 직후 정부는 작업자 13명이 배터리를 교체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며 "사고 이틀 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들의 현장 방문에서는 전기공사업체와 배터리 제조사가 2인 1조로 작업을 했다고 밝혔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그런데) 사고 사흘 뒤인 지난달 29일에는 8명의 공사 인력이 현장에 있었다고 하고, 다시 어제 오후에는 감리인 1명을 포함한 총 15명으로 현장 인력 규모를 수정했다"며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찰이 현재까지 폐쇄회로(CC)TV 분석을 통해 확인한 현장 인력은 11명이라고 나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건물 출입 기록이나 현장 CCTV만 봐도 사고 당시 몇 명이 있었는지 확인이 가능한데, 사고 이후 닷새가 지나도록 기본적인 발표마저 매번 바뀌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했다.
그는 "국회 차원의 사고 진상 규명을 위해 현장을 찾아간 여야 국회의원들에게 감리업체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없이 공사 현장을 축소 보고한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할 때마다 뒤죽박죽인 정부 발표로 혼선을 부추기고 사실을 축소·은폐하려는 것은 아닌가"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오송 참사 같은 대형 사고가 났을 때 보면 감리업체가 상주해 수습에 나서지만 이번 사고에서는 감리업체가 수습했다는 흔적이 없다"며 "4억 8천만 원 규모의 감리 용역 계약인데 정부에서 자료를 주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동진 의원은 "현장 갔을 때 감리업체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고, 배터리 공급사와 현장 직원이 2인 1조로 작업했다고 들었다"며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공급사인 LG CNS 모두 '연락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현장 관리가 부실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날 오후 6시쯤 국정자원 화재 관련 현안질의를 진행한다. 회의에는 윤호중 행안부 장관, 이재용 국정자원관리원장,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 등이 출석할 예정이다. 기업 관계자는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가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