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단독]고위험 분만 4년간 42% 급증…"세계 최고 수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작년 신생아 '4명 중 1명'은 고위험분만

35세 이상 산모 年9만여 명으로 전체 41%
현장에서는 '산과 기피' 더 심해질까 우려도
장종태 의원 "분만의료체계 질적전환 로드맵 필요"

연합뉴스연합뉴스"40세 이상 산모입니다. 시험관으로 어렵게 임신해 대학병원 다니고 있는데, 자연분만이 가능할까요?"
 
'예비 엄마'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 심심찮게 올라오는 하소연이다. 만혼(晩婚)이 일반화된 한국 사회에서 30대 후반 또는 40세를 넘겨 첫 아이를 낳는 '산모 고령화'는 이제 뚜렷한 현상이 됐다.
 
문제는 이에 비례해 '고(高)위험분만'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에 태어난 신생아 '4명 중 1명'은 고위험 분만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모의 과반이 35세 이상(2024년 기준 53.9%, 통계청)인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국내 의료계는 보통 만 35세를 기준으로 노산 여부를 판별한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고위험분만' 진단을 받은 산모는 작년 기준 5만 6500여 명(다태아 분만 등 중복건수 제외)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4년 새 무려 42%가 증가한 수치다. 고위험분만 환자는 지난 2020년 3만 9800여 명→2021년 4만 4700여 명→2022년 4만 9천여 명→2023년 5만 2100여 명 등 최근 2년 단위로 앞자릿수를 갈아치우고 있다.
 
전체 분만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그만큼 커졌다. 2020년 연간 분만건수의 16.5%였던 고위험분만(제왕절개(DRG) 제외)은 2021년 19.3%→2022년 21.6%→2023년 24% 등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작년 기준으로는 전체 분만건수의 26.2%를 기록했는데, 신생아 4명 중 1명 꼴이다.
 
의료 현장에서는 고령산모가 많아진 점을 주요인 중 하나로 꼽는다. 개별 차이는 있지만, 초산 연령이 높아질수록 산모의 합병증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들도 실제로 존재한다.
 
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5세 이상 분만 환자는 9만 500여 명으로, 같은 해 총 분만건수의 41.3%에 달한다. 2020년(7만 7200여 명, 전체 분만건수 대비 32.1%)에 비해 17.2%가 증가한 결과다. 4년 만에 전체 분만 대비 비율도 9.2%p 늘었다.

 
    박중신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대한모체태아의학회 회장)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임산부의 나이가 증가하면 그 자체도 고위험으로 보지만, 그 외에 생기는 합병증들도 많다"며 "임신중독증이나 임신성 당뇨병 등"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새는 '시험관 아기'가 늘면서 쌍둥이 엄마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다태아도 그 자체로 고위험임신"이라며 "체감상으로는, 우리나라 고위험 임산부 비율이 거의 세계 최고수준이 아닌가 싶다"고 전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 의원실 제공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대전 서구갑). 의원실 제공이처럼 현장 부담이 가중되면서, 전공의들의 산과 기피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분만인프라' 붕괴를 막겠다며 지난해 초 분만 관련 공공정책수가를 도입해 올 6월까지 약 2380억여 원의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했는데, 효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경영난으로 수가 지원을 받은 병·의원의 폐업률은 소폭 감소했으나, 실제 분만 가능한 병원급은 2023년 126곳에서 2024년 115곳으로, 의원급은 동 기간 203곳에서 183곳으로 줄어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장종태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돈을 풀어서 폐업을 잠시 막는 임시방편이 아니라, 분만 의료체계의 질적 전환을 위한 로드맵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고위험산모가 대학병원으로 몰리는 현실 개선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개편도 논의하자고 제언했다. 장 의원은 "고령산모와 고위험 신생아를 위해 지역 내 병·의원과 거점 병원 간의 유기적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고위험분만 집중치료 역량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