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를 일으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노후 배터리가 거론되는 가운데 국내 정전사고 대부분 노후화된 설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실(재선·전남 목포)이 한국전기안전공사(전안공)으로부터 제출받은 '비상출동고충처리 출동건수 현황'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정전사고 10건 중 8건은 노후화된 설비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는 정전사고에 따른 비상출동 1306건이었다. 주요 원인으로는 △설비고장 및 노후화된 시설 1039건(79.5%) △한전선로 이상 170건(13%) △자연재해 65건(5%) △인적요인 32건(2.6%) 순이었다.
지난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놓고 사용 권고 연한이 지난 배터리의 자체 결함 때문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노후 설비에 대한 경계심이 한층 높아진 상태다.
계절별로는 태풍과 전력사용량이 많은 여름에 집중됐다.
△2020년 여름 144건(전체 대비 48%) △2021년 96건(38%) △2022년 111건(42%) △2023년 87건(42%) △2024년 107건(38%) 등이었다.
김원이 의원은 "매년 여름 반복되는 정전사고는 전력 설비에 대한 사전 대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보여주는 지표"라며 "계절별 사고유형 분석과 현장 대응력 강화를 통해 선제적 전기안전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