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민석 국무총리가 미국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가 진전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25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실질적인 진전을 기대하기는 사실상 불가하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어 "(비자 문제 해결까지)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사업이 전면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라면서도 "하지만 한국 노동자들에게는 충격이 굉장히 컸기 때문에 그 안전에 대한 담보 없이는 본인들이나 가족들이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에 입국하기를 굉장히 꺼리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총리실은 이같은 김 총리의 발언과 관련해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또 김 총리는 미국 정부의 3500억달러 규모의 투자 요구에 대해선 "한·미 간 합의된 투자 규모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를 웃돈다"며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협정이 없다면 한국 경제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미국의 요구는 일본의 5500억달러 투자 약속과 유사하다"며 "협상단뿐 아니라 국민들 사이에서도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