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지난 8월 27일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광주·전남 특별지방자치단체 추진 선포식'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출범이 첫 관문인 행정예고 단계에서 무산되면서 연내 출범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사무소 위치와 의장 선출 방식 등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다.
22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따르면 양 시도는 이날 특별광역연합 설립 규약안을 행정예고할 예정이었지만 불발됐다.
행정예고는 통상 20일 전에 이뤄져야 이후 규약 의결과 연합의원 선임, 특별회계 조례 제정, 연합의회 임시회 소집 등 절차를 차질 없이 밟을 수 있다. 이날이 사실상 마지노선이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시도와 시·도의회는 6장 20조 4부칙으로 된 규약안의 큰 틀에는 합의했다. 교통·산업·문화·관광 등 10종 사무를 이관하고, 연합의회는 광주시와 전남도의회에서 각각 8명씩 총 16명으로 구성한다. 의장과 부의장은 각 1명씩 두고 임기는 2년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사무소 소재지와 의장 선출 방식에서 이견이 불거졌다. 광주시는 광주 또는 나주 혁신도시 설치안을 제시했으나 전남도의회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의장 선출을 두고도 광주는 연합의원 중 선출을 주장하는 반면, 전남은 시·도의회 의장이 맡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행정예고 무산으로 특별광역연합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로 출범이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충청권 광역연합의 사례처럼 재원 마련과 권한 배분 문제도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어, 공식 출범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연내 출범을 위한 행정예고 시한은 지났지만 다른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절차가 지연되더라도 올해 안에 마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