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연희 의원실 제공충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국정조사가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기관보고로 시작됐다.
검찰로부터 불기소 처분을 받은 김영환 충청북도지사에 대한 부실 수사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데 모든 초점이 맞춰졌다.
국회 행안위는 이날 오전부터 김 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등 모두 19명의 증인이 참석한 가운데 13개 기관으로부터 참사 전후 조치와 재발방지 대책 등에 대해 보고를 받고 질의를 이어갔다.
참사 발생 2년 만이자 국정조사 요구서가 국회에 제출된 지 1년 만에 국정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범여권 의원들은 시종일관 검찰로부터 불구속 기소 통보를 받은 김 지사에 대한 부실 수사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참사 현장이 있는 청주 흥덕을 지역구로 둔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은 "충북도가 참사 직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긴급 대피 요청을 4차례나 묵살했으나 검찰은 접수를 누락한 당사자를 특정도 하지 않았다"며 "결국 특정인을 봐주기 위해 엉터리 수사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의원들은 검찰이 불기소 처분서 등 일부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것에 대해 '국회 무시'라며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피의 사실 공표를 이유로 자료 제출이 어렵다고 설명했지만 질타는 이어졌다.
심지어 일부 의원은 김 지사가 "찐윤 중에 찐윤이었다"며 검찰 기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식의 의혹까지 제기했다.
연합뉴스이에 대해 증인으로 출석한 김 지사가 "정치 탄압"라고 대응하면서 한때 소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 김 지사는 "그동안 이미 수사가 이뤄졌고, 수만 페이지의 조사기록과 함께 내용도 다 나와 있다"고 맞섰다.
야당 의원들도 이번 국정조사가 김 지사에 대한 기소 압박처럼 진행되고 있다며 적극적으로 엄호했다.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은 "국회법에 수사 중이거나 재판 중인 사건에 관여할 목적으로 국정조사를 할 수 없게 돼 있다"며 "동료 의원들의 발언 내용 등을 보면 마치 한 사람을 기소하라고 압력을 넣은 국정조사 같다"고 말했다.
국회 행안위는 이날 기관보고를 마치면 오는 15일 현장 조사와 유가족 간담회, 23일 청문회를 이어가고 25일 결과 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