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첨단지구의 프리미엄 주상복합 아파트 시행사인 그린도시개발은 지난 8월 28일 입주자·계약자, 건축사, 교수 등 전문가와 함께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독자 제공'현대건설 프리미엄'을 내세운 광주의 한 주상복합 아파트가 전문가 검증에서도 다수의 부적합 공사가 여전히 시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이행합의서에 명시된 부적합 공사의 시정조치가 상당 부분 이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드러난 것이다. 시행사는 현대건설의 일방적 입주 강행을 비판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불공정거래 행위로 신고했다.
광주 광산구 첨단지구 프리미엄 주상복합 아파트의 시행사인 그린도시개발은 지난 8월 28일 입주자·계약자, 건축사, 교수 등 전문가와 함께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은 지난 3월 작성된 '공사이행합의서' 이행 여부와 하자 보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자리였다.
점검 결과, 합의서에서 시정조치가 명시된 부적합 공사 상당수가 그대로 방치된 사실이 전문가들에 의해 객관적으로 확인됐다. 특히 참여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합의 이행이 미흡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 모 건축사는 "전반적으로 미이행 상태임을 확인했으며, 일부 항목만 제한적으로 이행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지하 주차장 바닥 공사 상태를 보면 신축 건물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마감이 엉망이었고, 1군 건설사가 시공했다고 보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고 강조했다.
윤 모 토목시공기술사는 "현장 점검 결과, 합의서상 시정조치 항목이 전반적으로 미시행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공학박사 노 모 씨도 "부분적으로 이행된 사례는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합의 이행이 되지 않았다"고 종합 의견을 제시했다. 전문가 모두 합의서상 부적합 공사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입주민 민원 차원을 넘어, 전문가 검증으로도 입증된 '부실 시공'이라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 그럼에도 현대건설은 시행사의 확인 절차 없이 일방적으로 입주를 개시했다. 시행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문을 현대건설 측에 보내며 강력히 반발했다.
시행사인 그린도시개발 관계자는 "당사가 동의한 사용승인은 합의 이행을 전제로 한 조건부 동의였다"며 "현재의 준공승인은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고 실질적 준공으로 인정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합의 불이행으로 발생하는 분쟁과 책임은 전적으로 현대건설에 있다"고 못 박았다.
광주 광산구 첨단지구의 프리미엄 주상복합 아파트 시행사인 그린도시개발은 지난 8월 28일 입주자·계약자, 건축사, 교수 등 전문가와 함께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독자 제공나아가 시행사는 현대건설을 공사이행 의무 불이행과 입주 강행 등 불공정거래 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향후 공정위 판단에 따라 법적·행정적 파장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 관계자는 "합의서에 명시된 사항은 설계항목(허가 사항)을 제외하고 모두 조치 완료했다"며 "공사비 지급 지연에도 불구하고 입주민 편의를 위해 하자 관리를 지속해서 수행 중"이라고 해명했다.
전문가 검증에서도 '부실 시공'이 확인된 만큼, 현대건설과 시행사 간 갈등은 법적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입주민 피해를 둘러싼 논란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광주 광산구에 들어선 해당 주상복합 아파트는 대지면적 4493㎡에 지하 3층~지상 22층, 모두 2개 동 규모로 조성됐다. 아파트 72세대와 상가 33실로 구성돼 있으며, 전체 면적은 3만 5701.87㎡다. 이 아파트는 3.3㎡당 3천만 원을 웃도는 고분양가로 분양 당시 높은 관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