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제공충남 아산시 지역화폐 '아산페이'가 2년여 동안 누적 결제액 6500억 원을 돌파하며 지역경제의 활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8일 아산시에 따르면 아산페이는 지난 2023년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총 누적 결제액 6583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순소비 증대액은 1460억 원, 생산유발효과는 2051억 원, 역외유출 방지효과는 1817억 원으로,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자금을 지켜내는 효과가 뚜렷했다.
아산페이는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지역 상권 활성화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아산페이(모바일·카드) 발행 운영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역 소상공인 3명 중 2명은 "아산페이가 매출 증대와 지역상권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답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아산페이 핵심 사용층은 40~50대 여성이었으며, 음식점과 학원, 병원 등 생활 밀착 업종에서 결제가 집중돼 가계지출 민감 분야에서도 효과가 두드러졌다.
아산폐이 이용자는 현재 아산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으로, 모바일 가입자 수는 약 22만 명, 카드 발급량은 9만 장을 넘어섰고, 가맹점 수는 1만 2천여 개 등록됐다.
순소비 증가 추세는 2023년 547억 원에서 2024년 580억 원으로 확대됐고, 올해 상반기에만 332억 원을 기록했다. 하반기까지 포함하면 더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올해 하반기부터는 역대 최대인 45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이를 기반으로 아산페이 확대 발행과 '18% 할인 이벤트'가 시작된다. 충전 시 선할인 10%에 후캐시백 8%가 추가된다.
가령 아산폐이 100만 원을 충전할 경우, 실제 결제액은 10% 할인된 90만 원이며, 이후 8만 원을 캐시백으로 받게 된다. 실제 비용 90만 원으로 총 108만 원의 효과를 얻게 된다.
아산페이는 전국민과 외국인 모두 14세 이상이면 'CHAK 앱'을 통해 구매·사용할 수 있다. 충전, 결제, 잔액 확인까지 앱 하나로 간편하게 이용 가능하다.
후캐시백은 모바일·카드형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며, 지류형은 선할인 10%만 가능하다. 또 예산 한도 내에서만 지원되기 때문에 조기 소진 시 종료될 수 있으며, 기본 10% 할인은 계속 유지된다.
시는 아산페이를 기반으로 지역경제 선순환 모델을 확산해, 소상공인과 시민, 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경제공동체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현 아산시장은 "이번 아산페이 18% 할인 이벤트는 발행 이후 최고 수준의 혜택으로, 시민과 소비자 모두가 생활 속에서 즉시 체감할 수 있는 민생경제 회복 정책"이라며 "많은 분이 아산페이를 활용해 알뜰하고 현명한 소비를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