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 질문하고 있는 박해정 의원. 창원시의회 제공 창원시의회 박해정(반송·용지동) 의원이 창원시 액화수소플랜트 사업과 관련해 창원산업진흥원의 소송비 대납과 액화수소플랜트 성능검증 전문가 의견서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5일 열린 제146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액화수소플랜트사업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창원시의 무책임한 행정을 강하게 질타했다.
박 의원은 먼저 액화수소플랜트 성능 검증 결과 은폐 의혹과 관련해 "검증위원회 최종 의견서에는 '성능보증항목 모두 충족, 연료전지용 사용에 충분하다'는 결론이 담겨 있었음에도, 감사실은 이를 숨긴 채 '검증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인수를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철저한 조사와 감사를 촉구했다. 아울러 채무부존재 소송과 관련해 "홍남표 전 시장이 개인 변호법인에 소송을 의뢰해 성급히 추진한 만큼 정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창원 액화수소 생산시설. 성능검사의견서. 박해정 의원 제공또, 창원산업진흥원의 하이창원 지체보상금 소송비 대납 문제도 짚었다. 그는 "재무회계 규정을 명백히 위반한 불법 자금 운용으로, 시장 승인 절차와 소관부서 협의 없이 변칙적으로 집행됐다"고 지적했다.
또,"지난 제144회 정례회 시정질문을 통해 '지체상금 소송비 대납' 문제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으나, 2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창원시는 어떠한 후속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액화수소사업이 사실상 파탄에 이르게 된 과정을 되짚고 정밀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창원진흥원의 소송비 대여가 중대한 비위에 해당하는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며 "향후 내부 검토를 다시 진행하겠다"고 답변했다.
박 의원은 이어 액화수소플랜트사업의 핵심이 '수소 버스 확대'임을 강조하며, 창원시의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효성이 추진 중인 가포 액화수소충전소 착공 지연 문제에 대한 행정적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이에 조성환 미래전략산업국장은 "현 단계에서 액화수소 수요처 확대 방안은 수소차 보급 확대와 액화수소충전소 구축"이라며 "SK·효성 등 대기업과 협력해 충전소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창원시는 소비 기반 마련에는 소홀한 채 사업 중단에만 몰두했다"며 "수소 시내버스 확대와 충전소 확충 지원 등 실질적인 소비 여건 조성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창원은 수소산업의 메카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도시"라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육성을 위해 액화수소사업 정상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