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제공광복 이후 최초 4년제 대학으로 설립되어 올해 개교 78주년을 맞은 청주대학교(총장 김윤배)가 중부권 거점 사립대학으로 도약하며 '학생이 가고 싶은 대학, 학부모가 보내고 싶은 대학'을 만들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특히 청주대 김윤배 총장은 교육환경 개선과 맞춤형 학생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사업에서 확보한 사업비 등을 통해 현재와 미래를 반영한 학생 중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주대는 △미래인재 양성 △명문대학 위상 제고 △긴밀한 산학협력 구축이라는 '삼두마차' 체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지역 미래산업 기반 특성화 4개 분야 집중 육성
청주대 보건의료과학대학 전경. 청주대학교 제공청주대는 RISE 사업과 연계한 '지역산업 기반 특성화' 전략 방안을 수립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특성화 학문을 지원하고 있다.
충북도 전략·성장 산업과 밀접한 관련 있는 ICT-Energy, BT-보건의료과학, 디자인⋅콘텐츠, 항공 산업 등 4대 분야를 특성화 영역으로 지정해 인적⋅물적 자원 집중 정책을 펼치고 있다.
첫 번째로 특성화 영역 중 하나인 ICT 융합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학과인 전자공학과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 에너지융합공학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등이 다양한 국책 사업을 수주하는 등 지역 산업체와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또 제3캠퍼스인 충북혁신도시 에너지 산학융합지구 캠퍼스는 대학과 산업단지를 공간적으로 통합해 연구개발과 인력양성, 고용의 집적화를 구현하고, 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청주대는 이차전지, 태양광,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분야 산학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뤄내기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두 번째 특성화 영역인 BT-보건의료과학 분야는 도민의 삶의 질과 건강에 이바지하는 분야로 육성 중이다. 오송 바이오캠퍼스는 생명과학단지 내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BT 전문 인력 양성과 실용 학문 위주의 교과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세 번째 디자인·콘텐츠 분야는 청주가 세계 최초 금속활자인 직지의 고장이라는 점에 착안해 청주대의 강점 중의 하나인 예술대학을 중심으로 집중 육성 중이다. 최근 'iF, IDEA,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받으며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18년 연속 수상'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와함께 청주공항과 연계해 항공 분야의 특성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청주대는 2011년 항공운항학과, 2012년 항공기계공학과, 2019년 항공서비스학과와 무인항공기학과를 신설해 항공 분야 인재 양성이라는 퍼즐을 완성했다.
여기에 항공운항학과는 공군 ROTC 선발 대학으로 선정돼 비상의 날개를, 항공기계공학과는 항공기술교육원을 설립해 항공정비 인력을 본격 양성하고 있다.
학군사관후보생 메카 자리매김
청주대학교 제공청주대는 전국 대학 중 유일하게 육군·공군 장교 학군단과 군사학과 등을 보유한 대학이다. 지난해부터 조종 분야 10명, 일반 분야 20명 등 모두 30명의 공군 학군사관후보생(ROTC)을 모집해 운영 중이다.
청주대는 공군의 선진화된 전력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력 단련실과 전용 강의실 등을 갖춘 독립건물을 구축했다. 비행 교육원과 항공기술교육원, 항공모빌리티연구소, UAM연구센터를 활용해 각종 교육을 진행할 방침이다.
1976년 창단해 운영 중인 육군 제137 학생군사교육단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국방부 주관 학군단 설치대학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지난해는 국방부 주관 학군단 설치대학 평가 중 적극적 교육·훈육 분야에서 전국 108개 학군단 중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됐다.
또 전국 최초로 군사학과 전용 건물인 '충의관'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 최다인원 장교 양성대학 선정, 전국 최다 인원 여자 ROTC정원 획득, 전국 최다 인원 미국 텍사스 A&M대학 리더십 연수 등 다양한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청주대가 전국 대학 중 유일하게 육군·공군 학생군사교육단과 군사학과 등을 보유한 가운데 최고의 교육환경 제공으로 초급장교 양성의 산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과 함께하는 대학상 정립
청주대학교 제공청주대는 올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사업 23개 과제와 도내 대학 중 유일하게 선정된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사업 등을 중심으로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인재 양성에 나선다.
이번에 청주대가 선정된 RISE사업은 △지역정주형 인재양성 사업 중 충북 3대 전략산업과 지역 특화산업, 혁신클러스터 중심 융합인재 양성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중 국가-충북 미래전략산업 기반 R&BD 및 혁신창업 지원 사업 등이다.
청주대는 충북의 3대 전략산업인 바이오, 반도체, 이차전지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K-바이오, K-반도체, K-이차전지 융복합 다전공 운영을 통한 핵심 인재 양성을 양성하고, 첨단 로봇·제조를 위한 공동 연구센터를 운영하는 등 충북도의 정책을 뒷받침한다는 전략이다.
특화산업 기술 보호를 위한 산업.사이버 보안 융합인재와 중부권 거점 K-항공MRO 융합인재 양성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청주대는 이런 가운데 교육부가 주관한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사업 중 비수도권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된 반도체와 항공·우주 등 2개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각종 사업을 펼치고 있다.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는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단기 집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등 첨단산업 분야에 급증하는 인력수요에 대응하고 신속한 인재공급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사업기간은 2029년 2월까지이며, 반도체와 항공·우주 분야에 150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청주대는 이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장학금 지급과 반도체, 항공·우주 분야의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아우르는 실무·실습 중심의 교과목을 운영해 차세대 반도체, 항공·우주 분야의 전문인재를 배출한다는 복안이다.
청주대는 이밖에 최근 선정된 소프트웨어중심대학을 계기로 인공지능(AI) 및 소프트웨어(SW) 중점 대학으로 혁신에도 나선다.
청주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는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된 것을 기반으로 8년간 15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 것은 물론 충북도, 청주시, 진천군, 증평군 등으로부터 대응 투자받아 충북도내 'AI·SW 기반 융합인재 양성'과 '지역 산업 혁신'의 허브 역할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청주대는 'AI·SW 융합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산업을 선도하는 전문인력 양성 플랫폼'을 비전으로, 7대 과제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해 산업-지역-대학이 함께 만드는 디지털 인재 양성 허브로 도약할 방침이다.
김윤배 총장은 "미래산업을 이끌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충북도의 신성장 동력산업과 발맞춘 특성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또한 청주대가 지역거점 사립대학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학생에게는 미래를, 지역에는 활력을, 산업에는 경쟁력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