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5명 중 1명이 직장 내에서 성범죄 신고를 하면 사건이 제대로 처리되기는커녕 각종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1일부터 7월 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성범죄 위험 관련 인식'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직장인들에게 직장 내 성범죄 신고를 포기하는 이유와 관련해 질문한 결과, '신고를 이유로 불이익을 당할 것 같다'고 응답한 사람은 19.3%다. '신고 후 정상적인 직장 생활이 어려울 것 같다'고 답한 사람은 23.1%, '가해자로부터 보복을 당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0.7%로 조사됐다. '신고자의 신원이 노출될 것 같다'는 응답은 25.9%에 달했다.
현재 다니고 있거나 최근까지 일했던 직장이 직장 내 성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12.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직장인 18%가 신고 이후에도 성범죄가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과 비정규직은 모든 문항에서 남성과 정규직보다 더 큰 불안감과 불신을 드러냈다.
직장갑질119는 "직장 내 성범죄를 막기 위한 법과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직장인들이 이를 만성적 위험으로 여기고 있다"며 "예방조치를 형식적으로만 시행하거나 발생한 성범죄 처리 과정에서 조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회사를 떠나는 일이 반복된다"고 분석했다.
직장갑질119 김세정 노무사는 "최근 조국혁신당의 성폭력, 괴롭힘 사건은 조직 내에서 피해를 호소했을 때 어떤 잘못된 일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형식적인 예방 조치, 보여주기식 신고와 조사 절차로는 직장 내 성범죄를 결코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별과 고용 형태 등 노동자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