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아이카와에 위치한 사도광산의 소다유 갱도 내 전시된 에도시대 채광모습을 표현한 마네킹들. 최원철 기자정부가 일본 측이 개최하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작년에 이어 올해도 불참을 결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나 "핵심 쟁점에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결국 올해 추도식 참석이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며 "우리는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추도식 불참을 결정한 이유는 추도사 중 '강제성' 표현을 둘러싼 일본과의 의견차다. 이 관계자는 "핵심 쟁점은 추도사 내용 중 강제성에 관한 내용에 대한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고인이 된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에 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성격이 무엇인지 언급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강제로 노역했다는 게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에 맞지만 양측 추도사 내용 중 노동 강제성에 대한 구체적 표현에 대한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측이 올해 추도식을 오는 13일 개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추도식 이전까지 접점을 찾고 유가족과 참석을 준비할 물리적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도 불참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올해 추도식 참석이 어려워진 만큼 자체 추도식을 계획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유가족 분들도 대체로 이해해주셨다"며 "자제 추도식 추진 시기와 참석 인원 등의 상세 내용은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록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지만 정부는 여전히 사도광산 추도식이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모습을 갖춰 개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 우리 측이 참석할 수 있도록 일본 측의 전향적인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