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제공환경부는 오는 5일 김제실내체육관에서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환경부는 2009년부터 매년 9월 6일을 자원순환의 날로 지정해 '순환경제사회'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생활 속 실천의 중요성과 의미를 알리고 있다.
올해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 주제는 '탈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약속'이다. 일회용품 등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탈플라스틱 실천을 다짐하자는 의미를 담았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자원순환 선도 및 감량 △순환경제사회 전환 기반 마련 △포장재와 일회용품 감량 △순환골재 우수활용 △음식물류 등 폐기물 관리 분야에서 두각을 보인 유공자에게 정부포상 9점(대통령표창 2점, 국무총리표창 7점)을 수여한다.
각종 행사에서는 여러 체험활동과 전기 청소트럭 전시 등 시민참여형 각종 체험관(부스)을 운영해 주요 정책을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김제 자원순환 새로보미 축제'와 연계해 김제실내체육관 주차장과 김제시민문화체육공원에서 5일 오전 10시부터 △폐자원을 이용한 친환경 제품·작품 전시 △새활용 제품 만들기 체험 △분리배출 교육 등 부대행사가 열린다.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에서는 탈플라스틱 실천 서약과 인증 등 일상에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운동(캠페인)이 10일까지 이어진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이날 행사 참석 계기 전북 소재한 전기차 폐배터리와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설도 방문한다. 군산 새만금산단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인 성일하이텍, 전주 석청코리아가 대상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량은 2024년 2058개에서 2029년 약 2만 개로 급증할 전망이다. 폐배터리에서는 리튬,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제조의 핵심광물을 추출해 재생원료로 공급할 수 있다. 국내 재활용 기업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기술력과 처리공정을 보유하고 있으나,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와 국제 광물가격 하락으로 과도기적 불황을 겪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201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설치가 시작됐으나, 최근 태양광 패널의 기대수명이 도래해 발전소뿐만 아니라 주택, 농가, 산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폐패널이 발생하고 있다. 2024년 812톤에서 2028년 9632톤으로 발생량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김성환 장관은 "연내 '탈플라스틱 순환경제 로드맵'을 마련해 일회용품 원천감량, 친환경 제품설계 유도 등으로 순환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면서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에서 핵심광물을 추출하는 미래 폐자원 산업이 지역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