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영 유튜브 영상 캡처방송인 김나영이 10여 전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며 뜻깊은 선행을 실천했다.
김나영은 지난 3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10년 만에) 저희 집에 편지가 왔다"며 "조혈모세포은행에서 연락이 왔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 편지봉투를 보는 순간 제가 10여 년 전에 우연한 기회로 조혈모(세포) 기증을 하겠다고 등록해 둔 게 생각이 났다"며 "안내문에는 '유전자랑 일치하는 환자분이 발생해 연락을 드린다. 기증 희망 등록 후 시간이 많이 지나 다시 한번 기증 관련 절차를 안내하니 끝까지 읽고 현재의 기증 희망 여부를 알려달라'는 내용이 담겼다"고 소개했다.
조혈모세포는 골수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어머니 세포'로, 백혈병 등을 앓고 있는 혈액암 환자들의 경우 조혈모세포가 건강한 혈액세포를 만들어내지 못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환자들은 조혈모세포를 기증받아야 하지만, 적합한 기증자를 찾는 일은 쉽지 않다. 비혈연인과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할 확률은 0.00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나영은 "친족이 아닌 이상 부모랑 자식 간에도 일치할 확률이 5% 이내, 타인 간 일치할 확률은 수 만명 중에 한 명에 불과할 정도로 굉장히 낮다고 한다"며 "저랑 일치하는 제 피가 필요한 환자분이 나타났다고 하니 제가 무언가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도움을 줄 수 있어 행복하다. 살면서 이런 일을 몇명이나 겪어 보겠나"라며 채혈과 검사, 병원 입원 과정을 영상에 자세히 담았다.
김나영 유튜브 영상 캡처김나영의 기증을 담당한 김동윤 여의도성모병원 혈액내과 교수는 "이렇게 홍보해 주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뜻깊은 일을 하는 거라고 생각한다"며 "누군가의 자신의 세포를 기증한다는 건 사람만이 할 수 있는 행위"라고 칭찬했다.
이어 "누군가 자기 조혈모세포를 기증하고, 그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산다는 게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다"고 덧붙였다.
김나영은 이후 넷플릭스 예능 '옷장전쟁' 촬영을 병행하며 세 차례 촉진제를 맞고 두 차례 조혈모세포 채집을 거쳐 무사히 기증을 마쳤다.
그는 "이번에 기증을 하면서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분을 이렇게까지 응원할 수 있다는 걸 처음 느꼈다"며 "그 마음이 저 스스로를 되게 행복하게 해준 거 같다. 이 일을 많은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거 같아 너무 감사하다"고 기쁜 마음을 전했다.
이어 "제가 힘든 일을 겪었을 때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분들의 응원을 받았다"며 "어쩌면 그 응원으로 지금까지 살아왔다. 제가 받았던 응원, 기쁨 다 흘려보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