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책인 'AI+'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하고, 오는 2030년까지 국민생활 전반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전날 'AI+ 행동 심화 추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다. AI+는 지난해 양회(兩會)에서 리창 국무원 총리가 10대 정부과제로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
국무원은 이번 발표에서 △AI+ 과학기술 △AI+ 산업발전 △AI+ 소비품질 △AI+ 민생복지 △AI+ 거너넌스 △AI+글로벌 협력 등 6대 핵심 행동을 제안했다.
동시에 △기본 모델 역량 강화 △데이터 공급 혁신 강화 △지능형 컴퓨팅 파워 조정 강화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 최적화 △오픈 소스 생태계 번영 촉진 △인재팀 육성 강화 △정책 및 법적 보장 강화 △보안 역량 향상 등 8가지 기본 지원 역량 강화 역시 제안했다.
국무원은 그밖에도 △차세대 지능형 단말기 개발 △지능형 시나리오 기반 상호작용 학습 모델 구축 △의료분야 AI 적용 체계적 추진 △도시 기반 시설의 지능적 전환 및 업그레이드 등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국무원은 이를 통해 2027년까지 AI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의 보급률을 70% 이상, 2030년까지 90% 이상으로 끌어올려 스마트 경제가 중국 경제 발전의 중요한 성장점이 되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무원은 "과학기술, 산업, 소비, 민생, 거버넌스, 글로벌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 중점을 두고 AI+ 행동을 심층적으로 실행해야 하며, 모든 국민이 AI 발전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