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대통령실로 초청해 "문화는 우리 사회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투자 역할을 한다"면서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도입 필요성을 언급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은 제안을 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넷플릭스 비영어권 1위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김원석 감독, 토니상 6관왕의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프랑스 문화예술 공로훈장 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제78회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 1등상을 수상한 허가영 영화감독, 로전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 등 문화예술계 주역들이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선 김혜경 여사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도 함께 자리해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의 고충과 제언을 경청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문화가 다종다양해 문화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찾는 것도 쉽지 않다면서 관료적인 탁상공론이 아니라 수요자들이 원하는 정책을 가감없이 발굴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특히 '폭싹 속았수다' 팬인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에 드라마를 보고 대한민국의 문화적 잠재력에 놀랐다"며 "문화산업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국력을 키울 방안을 고민하게 됐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에 김원석 감독은 "한국적 이야기가 전 세계 시청자를 울린 이유는 보편성과 휴머니즘의 힘"이라고 화답했다고 한다.
간담회에선 각 분야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내용이 구체적으로 오갔다. 이 대통령은 영화·드라마 촬영을 위한 대규모 세트장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물었고, 김 감독은 전문 세트장이 필요한 현실을 토로하며 중국의 와이탄 세트장과 같은 사례를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조수미 성악가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조수미 성악가는 "(예술가에게 있어) 개인의 재능과 노력만큼이나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며 세계 각국의 한국문화원이 '문화 허브'로 기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찬휴 작가도 "한국 현지와 세계적 무대 사이 연결이 곧 현실적인 지원책"이라며 우리말과 감정으로 이뤄진 작품이 세계 주요 무대에 소개될 수 있도록 국가적 지원을 요청했다.
허가영 감독도 "상업영화가 아닌 독립영화, 예술영화가 더 많이 만들어질 수 있게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하다"고 영화인 양성 교육에 관심을 당부했다. 박윤재 발레리노는 "해외 무용수들은 16살에 유명 발레단 입단하지만 한국 남자 무용수들은 군 복무 문제에 발목 잡혀 꿈을 펼치기 어렵다"고 전했다.
김혜경 여사는 모교인 선화예고 정문에 '이 문은 세계로 통한다'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예술인들의 훌륭한 문화의 꽃을 피우면 좋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향후 각 분야별 정책 토론회를 제안했다. 강 대변인은 "즉각적인 대책을 지시한 사항은 없지만 추후 검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