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현대차와 기아가 올해 미국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끌어올린 덕분에 점유율 11%를 달성했다. 관세에 따른 미국 내 선수요 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지난달에는 성장 둔화 폭을 업계 대비 최소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29일 시장조사업체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미국에서 총 75만2778대를 판매해 점유율 11.0%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5%보다 0.5%포인트 오른 수치다. 현대차가 40만116대로 5.8%, 기아가 35만2662대로 5.2%를 차지했다.
올해 현대차·기아 누적 점유율이 11%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1월 10.5%(11만6362대)에서 2월 10.6%(24만7243대), 3월 10.7%(41만9909대), 4월 10.8%(58만2527대), 5월 11.0%(75만2778대)로 매달 상승했다.
월간 점유율 역시 1월 10.5%(11만6362대), 2월 10.7%(13만881대), 3월 10.9%(17만2666대), 4월 11.1%(16만2615대), 5월 11.6%(17만251대) 등 꾸준히 올랐다.
이 같은 실적은 관세 부과 전후 상황을 현대차그룹이 전략적으로 활용한 결과로 보인다.
3~4월에는 차량 가격 인상에 앞서 미국 소비자들이 구매를 서두르는 패닉 바잉 현상이 나타났고, 현대차·기아는 이에 맞춰 재고 확보와 HEV(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로 대응했다.
실제로 4월 판매 증가율은 16.3%로 업계 평균(11.1%)을 크게 웃돌았고, HEV 판매량은 2만6134대로 65.8% 급증했다.
5월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 전체가 주춤했지만 현대차·기아는 둔화 폭을 최소화했다. 5월 판매 증가율은 6.7%로, 미국 전체 판매량 증가율(2.5%)의 두 배를 넘었다. HEV 판매 호조와 일부 모델 프로모션 효과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다만 하반기에는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전망이다.
관세 발효를 앞두고 비축했던 비관세 재고가 소진되면서 미국 내 판매가격 인상 압력이 커지고 있다.
포드와 도요타 등 경쟁사들도 가격 인상에 나선 만큼, 현대차·기아도 시장 상황을 지켜보며 가격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 25%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추가 변수도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나는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그 관세를 (더) 올릴 수 있다"면서 "(관세가) 더 높을수록 그들(외국 자동차 메이커 등)이 이곳에 공장을 지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