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청사 전경. 광주시 제공지난 정부에서 삐걱거렸던 광주 인공지능, AI 2단계 사업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파란불이 커졌다.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포함한 사업 분담 비율 협의가 마무리됐고, 정부가 2차 추경에도 AI 관련 예산을 반영해 점차 본궤도에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광주광역시 등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위한 전략'에는 권역별 AI 센터를 연계한 AI 메가 클러스터 구축 구상이 포함됐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는 초고성능 컴퓨팅 파워를 갖춘 국가 AI 컴퓨팅센터가 필요하며, 정부는 이를 광주에 설치할 계획이다.
그동안 최대 난제로 지목된 인공지능 2단계 사업비도 6천억원 규모로, 분담 문제도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어느 정도 합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예비타당성 면제를 위한 국무회의 의결도 조만간 추진될 전망이다. 6개월이 걸리는 적정성 검토 절차를 거쳐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사업 착수가 가능할 전망이다.
광주 AI 사업과 관련해 올해 1차 추경 450억원에 이어 2차 추경 정부안에 일부 예산이 확보된 점도 2단계 사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 기본법'을 기반으로 전국 최초 AI 집적단지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법률상 별도 예산 항목이 신설되는 구조로, 중장기적으로 광주의 AI 예산 확보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광주시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통상적으로 국정 기획위원회에 부처가 업무 보고를 할 때는 본인들의 업무만 보고하는데 특별하게 공약 이행 과제에 광주의 AI사업을 넣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인공지능 2단계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사업비 분담 비율에 대한 협의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