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가계대출 5월 6조원 늘어…금융당국 "관리감독 대폭 강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 금융권 주담대·기타대출 증감액 추이. 금융위원회 제공전 금융권 주담대·기타대출 증감액 추이. 금융위원회 제공
5월 가계대출이 6조원 늘어났다. 전월 5조3천억원이 늘어난 데 이어 증가폭이 확대됐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가계대출 증가세를 밀착 감시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11일 오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대출 동향과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담대 규제 우회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하는 등 금융회사의 주담대 취급 실태에 대한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해 나가는 데 뜻을 모았다.

금융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5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5월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6조원이 늘었다. 올해 2월(+4조2천억원) 이후 계속되는 증가세다.

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금융위원회 제공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금융위원회 제공
가계대출을 끌어올린건 주택담보대출이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6천억원 늘었다. 전월(+4.8조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3.7조원→+4.2조원)과 제2금융권(+1.1조원→+1.5조원) 모두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4천억원 증가해 전월(+0.5조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소폭 줄었다. 신용대출 증가폭이 전월 대비 축소(+1.2조원→+0.8조원)된 점 등에 따른 것이다.

은행권 주담대 증가 세부 현황. 금융위원회 제공은행권 주담대 증가 세부 현황. 금융위원회 제공
업권별로 보면, 5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2천억원 늘어 전월(+4조7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대비 확대(+1.9조원→+2.5조원)된 데 반해 정책성대출 증가폭은 축소(+1.8조원→+1.6조원)됐다. 기타대출은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을 유지(+1.0조원→+1.0조원)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8천억원 증가해 전월(+0.5조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상호금융권(+0.3조원→+0.8조원)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저축은행(+0.4조원→+0.3조원)은 증가폭이 소폭 줄었다. 보험(+0.01조원→△0.3조원)은 감소세로 전환됐고, 여전사(△0.1조원→△0.1조원)는 전월과 유사한 감소폭을 유지했다.

이같은 가계대출 증가세에 금융위는 이날 오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동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5대 시중은행이 참석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과 연계돼 주담대 증가규모가 확대되는 점 등을 감안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금융회사의 주담대 취급실태에 대한 관리 ․ 감독을 대폭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은행들은 과잉대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체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고, 금감원은 은행들의 주담대 취급 과정에서 대출규제 우회 사례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나아가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되지 않도록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밀착 관리하는 한편, 전세대출보증 관련 제도개선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 이미 발표한 추진과제들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위 권대영 사무처장은 "금융당국은 일관된 가계부채 관리 기조 하에서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 추이,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 과열 발생시 준비된 조치를 즉각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