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수능 6월 모의평가, 부산 2만6천여명 응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이번 평가, 11월 13일 치를 2026학년도 대입수능 유형과 동일

부산시교육청 전경. 부산시교육청 제공부산시교육청 전경. 부산시교육청 제공
오는 4일 치러지는 대입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부산에서는 122개 고등학교와 29개 지정 학원에서 실시된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치러지는 이번 모의평가는 부산에서는 재학생 2만 2450명과 졸업생과 검정고시 출신자 4118명 등 모두 2만 6568명이 응시한다.
 
이번 모의평가는 오는 11월 13일 치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시험의 성격, 출제 영역, 문항 수 등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동일하게 출제된다.
 
또 전년도 수능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여 실시된다. 1교시 국어영역과 2교시 수학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실시되며, 공통과목 점수를 활용한 선택과목 점수 조정 절차를 거친 후 표준점수와 등급을 산출한다.  4교시 탐구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최대 2과목을 선택해 응시할 수 있다.
 
시험 당일 현장 응시가 어려운 수험생은 평가원 온라인 응시 사이트(http://icsat.kice.re.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응시하면 된다. 온라인 응시 사이트의 답안 제출 마감은 다음달 5일 오후 9시까지며, 답안을 입력한 후 제출을 완료하면 성적표를 제공한다.
 
이번 모의평가의 성적은 오는 7월 1일에 수험생에게 통지된다.
 
한편, 같은 날 고등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부산시교육청 주관 2025학년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도 치러진다. 부산지역 고등학교 2학년 111교 2만 416명과 1학년 112교 1만 9913명이 응시한다. 1학년의 경우,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부터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 및 점수 체제를 적용한 사회·과학탐구 영역 시험을 치른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15

새로고침
  • NAVER아이고마2022-01-15 19:43:45신고

    추천2비추천1

    선제타격은 북이 이미 전면전을 일으켜 남한에 대고 미사일를 쏘는 경우를 가정해서 한 말이다.
    미국도 북한의 기습 공격 증후가 보이면 선제타격을 해야 한다고 공공연히 말했고, 선제타격은 이미 국군과 미군의 공식 군사 건략이다.
    또한 여러 나라들이 상태방이 공격하려 하면 선제타격 하겠다고 공공연히 말하는 걸 수도 없이 들었다. 이재명은 세계의 어느 지도자도 그런 말 안 했다고 또 습관성 거짓말을 해 댔다.
    돌대가리 재명이는 다른 나라 지도자들도 모두 자기처럼 적이 미사일 쏘는데 선제타격 안하고 그냥 맞아 죽는 바보인줄 아니보다.
    북이 먼저 공격하는 경우에 하는 선제타격에 대해,
    선제타격이란 말이 선전포고이니, 전쟁위기를 조장한다느니 하는 삶은 소대가리도 박장대소할 허무맹랑하고 황당한 말을 해 댔다.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날아오면 막을수가 없으므로 선제타격을 해야만 우리 국민의 목숨을 구할 수있다.
    북이 극초음속핵미사일 쏘

  • NAVER아이고마2022-01-15 19:42:16

    작성자에 의해 삭제 된 댓글입니다.

  • NAVERcopilot002022-01-13 03:13:04신고

    추천9비추천6

    위험천만, 윤 보유 대한민국! 핵 보유 북한 보다 더 위험!!
    전쟁은 무기가 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하는 것이다. 군대가 하는 것이 아니고 정치인이 하는 것이다. 핵무기는 실제로 쓰지 못 하는 과시용이다. 방어력 과시용. 누구든 일단 쓰면 공멸. 한 방 안에서 수류탄 터뜨릴 조폭도 없다!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은 총 든 손을 내리게 하고 따뜻한 손을 내밀어 악수하고 포옹하는 '평화의 무기' 정치 사상과 그 리더쉽과 그 리더. 북한의 일인 체제는 극히 불안, 빈곤. 체제안정과 무력을 경제화 하려는 의도.  미국의 무기 상업경제화와 크게 다를 게 없다. 그것을 위해 외교적 갑질과 정치적 압력, 분명 평화적 리더십 과는 거리가 멀다. 

    한국이 이 복잡미묘한 특수 지정학적-군사적 위기를 잘 헤쳐 나가면 세계적 리더가 된다! 지구촌 리더십, 그런 잠재적 리더가 우리에게 꼭 필요하다! 아는 것 만큼 보이는 법! '아름다움'을 소망하는 것 만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