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연합뉴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은 중국과의 '전면적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원하지 않는다"며 전략적으로 필요한 분야에 한정해 디커플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12일(현지시간) 미중 양국이 상호 부과한 고율 관세를 90일간 115%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한 공동성명 발표 직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코로나19 시기처럼 확보하지 못했던 전략적 필수품들에 대한 디커플링"이라며 "효율적인 공급망이 반드시 회복력 있는 공급망은 아니라는 점을 깨달았다"고 설명했다.
CNBC는 미국이 팬데믹 기간 동안 공급망 혼란으로 가전제품, 자동차, 반도체 원자재 확보 등에 큰 차질을 겪었고, 이로 인해 40여 년 만의 인플레이션 급등을 겪었다고 지적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연합뉴스앞서 베선트 장관은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양국 모두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는 데 공감했다"며 "균형 잡힌 무역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철강은 자국에서 생산할 것"이라며 "철강이나 반도체, 필수 의약품 등 전략 품목에는 품목별 관세가 필요하다. 상호 관세 인하와는 별개"라고 강조했다.
이번 미중 관세 인하에는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 기존 품목별 관세와 조만간 부과될 예정인 의약품 관세는 포함되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은 다음 협상이 몇 주 내에 열릴 것이라고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