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KT는 9일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888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6조 8451억 원으로 2.9% 증가했고, 순이익은 5668억 원으로 44.2% 늘었다.
모바일·인터넷·TV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KT 그룹 핵심 사업의 지속적인 확장을 바탕으로 매출 성장세가 이어진 점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KT에 따르면,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 등으로 1.0%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고, 5G 가입자 비율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8.9%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에서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기가인터넷 가입자와 부가서비스 이용 확대로 1.3% 성장했다. 다만 유선전화 매출은 가정 내 수요 감소로 10.5% 감소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프리미엄 요금제와 셋톱박스(STB) 이용 확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했다.
특히, KT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사업과 DC(데이터센터)사업의 성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42.2% 성장했다.
그룹사인 '넥스트커넥트PFV'를 통해 구의역 일대 강북본부 부지에 개발한 롯데 이스트폴 아파트 입주가 지난 3월에 시작됨에 따라 분양 매출과 이익이 이번 실적에 일부 반영되기도 했다.
KT는 올해 2분기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AICT(인공지능 정보통신 결합) Company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지난 3월 AX(AI 전환) 전문 딜리버리 조직 'AXD'를 출범했으며, 산업별 맞춤형 컨설팅과 AX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한국적 AI 모델'과 Secure Public Cloud를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2분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한편, KT가 이날 공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 현황에 따르면, KT는 작년 11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2028년 연결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를 9~10%로 설정하고 △AICT 구조 전환 △비핵심 자산 효율화 △저수익사업 합리화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요 달성 방안을 제시했다.
KT는 수익성 제고와 '비핵심 사업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이유로 올해 이니텍과 플레이디를 매각하는 한편, 2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결정하고 지난 2월부터 매입을 진행 중이다. 1분기 배당금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20% 인상된 주당 600원을 지급했다.
KT CFO 장민 전무는 "올해 B2B(기업 간 거래) AX 분야를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성실히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