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산업 등이 밀집한 충남지역 제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지역 중소기업들의 피해도 우려되고 있어 도가 대응책을 부심하고 있다.
충남의 지난해 수출액은 926억100만 달러로, 지난해 무역수지 흑자 전국 1위를 기록하는 등 수출의 비중이 높다.
지난해 충남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116억1400만 달러.
하지만 미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로 충남 기업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25%의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데 이어 거의 모든 나라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도 부과됐다. 관세 정책이 연일 널을 뛰며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불안감도 높은 상태다.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절반 이상인데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가 상당 비중을 차지한다. 주력 산업의 수출 비중도 높다.
도는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긴급대응전담 전략팀(TF)'을 구성했고 도내 수출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과 무역보험 지원 확대, 통상 법률상담센터 운영, 해외 시장 개척 등의 대응책에 나섰다.
우선 은행권의 우대금리 자금과 경영안정자금, 신용보증대출 등 수출 기업에 대해 모두 1천억 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무역보험 지원을 확대하고, 경제진흥원 등에 관세사와 수출 전문가를 배치해 상담도 지원한다.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시장 개척 등 지역 기업의 수출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 도는 해외사무소와 수출 상담 행사 등을 활용한 지원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과 별도로 지역의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정부가 더 꼼꼼히 챙기겠다는 관점에서 대응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