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종잡을 수 없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국내 증시도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코스피 변동성이 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커졌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1일까지 코스피 일중 변동률은 평균 1.97%로 집계됐다.월별 기준으로 지난 2021년 2월(2.03%) 이후 4년 2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일평균 일중 변동률은 지난해 1월 1.15%에서 8월엔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증시가 급락하면서 1.61%까지 커졌다. 이후 올해 2월엔 안정을 찾아 1.02%까지 낮아졌다가 3월 1.19%로 반등한 뒤 이달 들어선 2%에 근접하고 있다.
이는 롤러코스터를 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 7일 코스피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관세 전쟁 현실화 우려에 5.57% 급락했고, 다음날은 장 초반 2%대 상승세를 보이다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일인 9일엔 발효 시점인 오후 1시를 기해 1년 5개월여 만에 2,300선 아래로 주저앉았지만, 다음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6.6% 급등했다.
한국형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도 급등락세를 보였다.
코스피가 5% 넘게 떨어진 지난 7일 VKOSPI는 전날 대비 65% 급등해 지난해 8월 '블랙먼데이' 이후 최고치인 44.23를 기록했지만, 다음날은 14% 급락해 37.83으로 떨어졌다.9일엔 8% 급등해 40선을 회복했지만 다음날 31% 급락해 28.20으로 떨어졌다.
증권가에서는 관세 우려로 변동성 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90일 유예를 발표한 가운데 앞으로 90일간 주요 교역국들은 고지된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해 트럼프와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트럼프와 시진핑, 각 국가들의 관세 협상에 대한 주요 발언과 결과에 따른 상·하방 변동성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현재 증시가 저평가돼 있어 추가 하락 시 미중 갈등 수혜주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 전략은 유효하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