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은행이 지난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신입직원 채용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우리‧하나은행은 전년보다 정기 공개 채용 인원을 줄였다.
신한은행은 2023년 137명에서 지난해 102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은 500명에서 382명으로, 하나은행은 441명에서 384명으로 줄었다.
이는 당초 계획한 채용 인원인 신한은행 150명, 우리은행 390명, 하나은행 400명 등에 미치지 못한 규모다.
KB국민은행은 2023년 254명에서 지난해 260명으로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NH농협은행은 2023년 480명에서 지난해 1260명으로 크게 늘렸다. 다만 올해 상반기 채용 인원을 지난해 미리 채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은행은 정기 신입직원 채용보다 경력직을 선호했다.
카카오뱅크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동안 정기 신입직원 채용이 0명이다. 다만 카카오뱅크는 수시 채용과 채용 전환형 인턴 제도 등을 통해 같은 기간 73명의 신입사원을 뽑았다. 토스뱅크는 2023년과 2024년 신입직원 각 1명을 채용했다.
케이뱅크는 2022년 26명과 2023년 17명 등 유일하게 두 자릿수 신입 직원을 채용했다. 다만 지난해 8명으로 줄었다.
대신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264명, 토스뱅크는 226명, 케이뱅크는 104명 등을 경력 채용했다.
한편 지난해 4대 금융의 순이익은 16조 4205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자 이익은 41조 8760억원으로 전년보다 3,1% 늘어 역시 사상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인터넷은행도 마찬가지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순이익 4401억원으로 전년보다 24% 늘었고, 케이뱅크는 지난해 순이익 1281억원으로 전년보다 10배 커졌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457억원의 순이익으로 연간 기준 첫 흑자를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