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경제 성장' 띄운 민주당…우클릭 논란엔 "이념 문제 아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집권플랜본부, '성장'에 방점

이재명 '실용주의' 기치에 발 맞추는 행보
일각 제기된 이재명 '우클릭' 비판도 진화
"진보·보수 이념으로 재단할 문제 아니다"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집권플랜본부 신년 세미나, 성장은 민주당 "대한민국 성장전략"에서 김민석 총괄본부장(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집권플랜본부 신년 세미나, 성장은 민주당 "대한민국 성장전략"에서 김민석 총괄본부장(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준비 조직인 집권플랜본부가 경제 성장에 방점을 찍은 청사진을 내놨다. 5년 안에 3%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로, 최근 실용주의 노선을 부각하며 중도층 확장에 속도를 올리고 있는 이재명 대표와 발을 맞추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이른바 '우클릭' 행보를 두고 민주당의 기존 가치와 맞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지만, 동시에 이를 이념적 잣대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반박도 나온다.

민주당 집권플랜본부는 6일 국회에서 신년 세미나를 열고, 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한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집권플랜본부 본부장을 맡은 김민석 의원은 "성장과 분배, 성장과 복지의 관계 아닌 성장 그 자체의 회복을 위한 전략을 논하려 한다"며 "현 시점 대한민국의 최대 숙제 중 하나는 민주주의와 성장의 회복이다. 성장의 회복이 절박한 과제냐고 묻는다면 답은 그렇다"고 밝혔다.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집권플랜본부 신년 세미나, 성장은 민주당 "대한민국 성장전략"에서 김민석 총괄본부장(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집권플랜본부 신년 세미나, 성장은 민주당 "대한민국 성장전략"에서 김민석 총괄본부장(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민주당은 대한민국의 민주적 성장을 선도해온 전통이 있다. 김대중의 문화정책, IT 정책, 노무현의 한미 FTA가 그랬고 문재인 정부도 코로나 극복으로 성장의 바탕을 회복했다"며 "민주적 성장 정략은 민주, 복지, 평화와 함께 민주당의 전통이자 정체성의 하나"라고 강조했다.

발제에 나선 주형철 'K-먹사니즘(먹고사는 문제)' 본부장은 구체적인 성장 전략으로 △재정정책에서 산업정책 중심으로 전환 △삼성전자 등 빅테크 기술기업 육성과 클러스터 성장 지원 △방위·에너지·식량산업 등 전통·비전통적 안보산업 강화와 인재 확보 등을 제시했다. 

이어 이같은 성장 전략 아래 현재 1%대 경제성장률을 5년 안에 3%대로, 10년 안에는 4%대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당원주권본부장을 맡은 이춘석 의원은 "대한민국의 분명한 성장 전략을 제시하고, 국민의 삶을 더 챙겨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경기 침체와 민생 파탄에서 벗어나 회복과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현안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현안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집권플랜본부는 지난해 10월 출범한 민주당의 차기 집권 대비 조직이다. 이재명 대표가 내세워온 '먹사니즘'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데, 조기 대선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조직도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는 분위기다.

이날 나온 경제 성장 위주의 전략안도 최근 이 대표가 보이고 있는 실용주의 기치를 반영한 청사진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의 실용주의 행보를 두고 제기되는 '우클릭' 논란을 진화하려는 움직임도 나왔다.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주 52시간 예외 적용 등 이 대표의 최근 행보를 둘러싼 일각의 비판에 "민주당은 국민에게 필요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실현하려고 노력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진보냐 보수냐, 좌냐 우냐 이런 이념적 기준을 갖고 정당 정책을 평가하거나 규정하기 어렵다"며 "이 대표의 최근 발언도 이념으로 재단할 문제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또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예외 조항에 이견이 있다면 해당 근로시간 문제를 제외하고 우선 시급한 것부터 처리하면 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당의 입장을 정리하는 시점에) 목표 시한을 따로 정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여야 협상이 결렬될 경우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해 처리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의 행보를 둘러싼 우클릭 비판은 비명계를 중심으로 거세지는 모양새다. 문재인 정부 통일부 장관을 지낸 이인영 의원은 전날 "몰아서 일하기가 왜 안 되냐는 건 근로시간 단축 역사에 역행하고 민주당의 노동가치에 반한다"며 "실용도 아니고 퇴행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이재명 혼자 모든 걸 잘할 수는 없다"며 "이재명이 아니어도 정권교체는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