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6일 열린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서로 고성을 주고받은 끝에 여당 간사가 사과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날 열린 3차 청문회에서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에게 지난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 "비상계엄에 관해 지금도 적법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대목을 따져 물었다.
용 의원은 "'지금도'라는 표현에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며 "계엄 이전에는 어땠는지 몰라도 계엄 이후에는 (위법성을) 알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고, 이 전 사령관은 "지금이라도 그 순간에서는 적법하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얘기"라고 답했다.
그는 "법률 전문가인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판단했기 때문에 적법하다고 판단했다는 것인가"라는 용 의원 질문이 이어지자 "그 부분도 있다"고 답했다.
이에 용 의원이 "수방사령관씩이나 돼서 군 통수권자가 법률 전문가 출신이니까, '어련히 법률 판단을 알아서 했겠거니'하고 생각하니 내란죄로 구속되는 상황까지 이르게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 출석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그러자 육군 소장 출신인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이 "수방사령관씩이라니요"라며 항의했고, 용 의원이 "조용히 하세요"라고 대꾸하자 강 의원은 "야"라고 소리쳤다.
용 의원은 "수방사령관씩이나 돼서 그랬지, 그러면 일반 사병(병사)이 그랬나"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강 의원은 "'수방사령관씩'이라는 말에 사과하면 '야'라는 말에 사과하겠다"고 했으나, 용 의원은 "순서가 아니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안규백 위원장이 "강 의원은 여군 중에서도 소장 출신인데, 인내를 해 왔으면서 그것을 못 참아서 이렇게 하면 되겠나"라며 사과를 요구했지만 강 의원은 똑같은 말을 반복했다.
앞서 청문회가 시작할 때 국민의힘 간사인 한기호 의원은 "여야가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오늘 아침 여당 의원들이 모여서 민주당 의원들이 발언할 때 방해를 하지 말기로 했다"며 "민주당 의원들도 저희들이 발언하고 질의할 때 방해를 안 해 주셨으면 좋겠다. 국민들 보기에 흉한 모습을 오늘은 안 보였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결국 이 공방은 한 의원이 "강 의원이 군 생활을 30년 이상 했는데 '수방사령관씩'이라고 하면 감정적으로 흥분할 요소가 있다"며 "잘못 사용된 용어에 관해서는 사과드린다"고 하면서 일단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