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섭 산림청장은 재선충병 방제 현장 점검에 해당 지역 단체장 및 국회의원과 동행한다. 재선충병 방제 과정에서 자치단체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산림청 제공▶ 글 싣는 순서 |
①제주의 드라마틱(?) 재선충 급감…지자체 큰 그림 있었다 ②"재선충병 방제, 지역 등 모두의 협력이 필요한 때" |
현재 소나무재선충병이 심각한 곳은 7개 시군이다. 전국 146개 시군 가운데 울산 울주와 경기 양평, 경북 포항·경주·안동·구미, 경남 밀양 등 7곳에 전국 피해의 58%가 집중돼있다.
올해 발생한 감염목은 90만 그루로, 지난해 107만 그루보다 줄어들기는 했지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산림청이 드론을 포함한 항공예찰을 확대하고 수종전환 방제를 추가 도입하는 등 기후변화와 최첨단 기술 도입 등의 방법으로 방제 대책을 강화해나가고 있지만, 제주도의 사례에서 보듯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제주의 경우 2015년 54만 그루에 달했던 감염목이 2024년 2만2천그루로 급감했는데, 전문가들은 피해도 작성과 사업구 확정, 우선 방제 순위 확정 등 지자체인 제주도의 지역맞춤형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성공사례. 산림청 제공이에 따라 울산 울주 등 7개 시군의 의지와 전략 역시 중요할 수밖에 없다. 최근 임상섭 산림청장의 방제 현장 방문 당시 해당 지역 단체장이나 지역 국회의원과 동행한 것 역시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산림청이 추진 중인 소나무재선충병 책임담당관제와 지역사회 사업설명회 역시 지자체 등 지역사회의 공감대와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산림청 차장을 비롯해 국·과장, 지방청장 등 39명으로 구성된 책임담당관은 담당 지역의 기관장 등을 면담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방제 요청의 역할을 맡고 있다. 지자체를 비롯한 지역 사회 역시 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지역 맞춤형 전략 마련 등 역할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제기되는 이유다.
재선충병 방제 성공 사례로 꼽히는 제주도는 2013년부터 매년 자체 방제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오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임상섭 산림청장은 지난달 소나무재선충이 집중 발생한 7개 시군 현장 점검에서 "제주도의 경우 도지사가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며 방제 사업의 품질을 제고하고 재선충병 예방나무 주사를 확대 시행하는 등 전략적 방제 방안을 마련해 2015년 기준 54만 그루에서 2024년 현재 2만 그루로 재선충병 감염목을 감소시킨 성공적 사례로 꼽힌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면 재선충병의 확산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며 "모두가 누리는 가치 있고 건강한 숲으로 가꿔나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