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어리 조업 장면. 창원시 제공창원특례시가 지난 2년간 정어리 집단폐사로 큰 피해를 겪은 뒤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대응 대책'을 수립하고 3단계 세부 시행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1단계는 징후감지 단계로 정어리 발생 동향과 어획량 등을 상시 모니터링 한다. 2단계는 초기대응 단계로 살아있는 상태의 정어리를 최대한으로 포획 후 건제품 또는 생사료로 자원화해 폐사 발생 시 신속 수거하는 3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2단계에서 마무리하는 것이 이번 계획의 핵심이다.
시는 연안선망과 관내 정치망을 통해 7월부터 창원시 연안 일대에서 일 평균 최대 600톤에 달하는 정어리를 사전 포획해 자원화 추진에 나서고 있다.
특히 반폐쇄성 해역인 마산항은 산소부족 물덩어리로 2년 연속 정어리 폐사가 발생한 주의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항만구역 내 조업이 허용되지 않아 사전포획이 불가능하였다. 최근 시와 경상남도, 마산해양수산청, 마산항해상교통관제센터 등 관계기관과 제도 개선을 위한 수차례 협의를 거쳐 올해는 마산항 항만구역 내 정어리 유입 시 조건부 일시적 조업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이를통해, 정어리 사전포획 확대를 통한 집단폐사를 원천 차단할 예정이다.
창원시 정규용 해양항만수산국장은 "어업인과 유기적 관계를 통해 정어리 어획량과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며, "올해는 마산항 내 정어리 유입 시 일시적 조업 허용에 따른 사전포획 확대로 집단폐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과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로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어리 집단폐사 대응 정책 TF를 꾸린 마산합포구(구청장 강창열)도 30일 TF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대응 매뉴얼 강화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서 TF팀은 정어리 관련 동향과 해황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수립된 대응 매뉴얼에 따른 실무반별 역할을 다시 한번 점검했다.
강창열 구청장은 "이번에 마련한 매뉴얼은 올해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발생하는 모든 정어리 관련 문제에 대응 가능한 교과서처럼 쓰일 수 있도록 끊임없이 검토하고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마산합포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