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북러 조약, 한국 겨냥 아냐…차분히 수용하길"(종합)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러 외무차관 "모든 필요조건 갖춰지면 김정은 러시아 방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한 모습.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한 모습. 연합뉴스 
러시아는 최근 북한과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며 한국이 차분히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밝혔다.
 
25일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북한과의 합의는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 전체의 문제를 군사적 수단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국가들에 대한 일종의 경고"라고 말했다.
 
루덴코 차관은 "이번 조약이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고 강조하면서 "이미 심각한 동북아 지역의 (안보) 상황을 훼손하려는 목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국이 새 협의를 이해심을 갖고 수용하길 기대한다"고 밝히고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 건전한 접근이 힘을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덴코 차관은 미국이 동북아 지역에서 한반도의 긴장을 이용해 역내 군사 주둔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미국) 정책의 주요 목표는 북한 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를 봉쇄하는 것"이라며 "이런 이중 봉쇄의 틀 안에서 미국인들은 현재의 긴장을 이용해 동맹의 영토의 기지와 미사일 시스템을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루덴코 차관은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답방과 관련해 "필요한 모든 조건이 갖춰지고 문서 서명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때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방문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방북 기간 북러 정상회담을 시작하면서 "김 위원장의 이번 방북 초청에 감사하다"면서 "다음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기를 바란다"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정상 회담 후 언론 발표에서도 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에 답방하기를 기다리겠다"고 재차 말했다. 김 위원장이 모스크바 답방에 나선다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네 번째 만남이 이뤄지게 된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