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4년 5개월만 한중일 정상회의…3국 협력 체계 복원 주목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尹,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경제 협력 등 논의 예정
한반도 비핵화 등 안보 및 국제 정세도 머리 맞댈 듯
4년 5개월 만에 열리는 회의…3국 협력 체계 복원 주목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사진 왼쪽),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각각 양자 회담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사진 왼쪽),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각각 양자 회담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갖고 경제 협력 등 3국 간 공조 방안 논의에 나선다. 한반도 비핵화를 비롯한 안보 및 국제 정세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2월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 3국 협력 체제가 완전히 복원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일본과의 긴밀한 관계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소통 물꼬를 튼 중국과의 협력 관계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에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갖는다.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는 지난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제8차 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이다.

회의는 1시간 반 이상 진행될 예정이며, 3국 정상은 주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유 발언을 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가 제시한 핵심 주제는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통상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 등 6가지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가 생각하는 3국 협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세 나라 국민들이 서로를 신뢰하면서 활발히 교류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3국 모두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부분의 시간은 경제, 민생을 비롯해 3국 협력이 어떻게 무역과 산업 공급망에 관해 협력하고 서로 지식재산권을 보호해가며 투자와 무역을 활성화할지, 재난‧안전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요 지역의 다른 국가들과 어떻게 협력을 확장해 나갈지, 이 대화체를 미래세대에 어떻게 물려줄지 하는 주제들에 할애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렇듯 3국 신뢰 확보 및 강화와 경제 협력 등이 핵심 의제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반도 비핵화를 비롯한 북한 문제와 국제 정세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전날 리창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북핵 위협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북한이 핵 개발을 지속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러시아와 군사 협력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평화의 보루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충분히 나누지 못한 안보 현안을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해 있고, 다른 각종 미사일 도발도 섞어 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다만 외신에서 보도한 3국 공동선언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3국의 공통적인 목표'가 들어갈지에 대해선 미지수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8차례의 한중일 공동선언에서 한두 차례 빼고 대부분 북한 문제, 한반도 문제가 기술돼 있지만 이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강도로 구체적으로 기술할지는 아직 장담을 못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3국 정상은 회의 후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해 각각 연설하고, 참석한 경제인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대통령실, 3국 협력 체계 '복원' 성과 기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회의에서 또 다른 관전 포인트는 일본과의 긴밀한 관계 심화와 함께 소통 물꼬를 튼 중국과의 협력 관계 강화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일본과 '셔틀외교'(상대국을 오가는 정례 정상회담)를 재개 시키면서 양국 간 신뢰 관계를 쌓아왔다. 다만 중국과의 관계는 경색 우려가 제기돼 왔다.

윤 대통령은 전날 연쇄적으로 양자 회담을 이어가며 몸을 풀었다. 먼저 리 총리와의 회담에선 '경제 협력' 등에 힘을 실었다. 또 "한중 양국은 우리의 양자 관계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리 총리는 "중국 측은 한국 측과 함께 노력해 서로에게 믿음직한 좋은 이웃, 또한 서로가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가 되고 싶다"고 화답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아세안정상회의를 계기로 리 총리에게,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직접 제안하면서 이번 회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3국 협력 체계 '복원'이라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차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세 나라가 3국 협력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고 정상화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3국 국민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협력의 모멘텀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