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흘리는 김옥자 할머니와 손녀. 연합뉴스"아버지 내 얼굴 알아지쿠과(아시겠나요). 나는 아버지 얼굴 몰라…." 3일 제주4·3추념식이 열린 4·3평화공원 장내는 눈물바다가 됐다. 4·3 당시 5살의 나이에 아버지를 잃어 얼굴조차 모른다는 여든의 김옥자 할머니가 76년 만에 아버지 얼굴을 보게 돼서다. 이날 인공지능(AI) 기술로 김 할머니 아버지의 얼굴이 영상으로 복원됐다. 추모객들은 눈시울을 붉혔다.
제주 출신 배우 고두심은 내레이션을 통해 "옥자 할머니의 70여 년은 정지된 시간이었다. 4·3의 피바람은 이렇게 긴 세월이 무색하게 여전히 5살 옥자인 팔순 노인을 남겨 놨다"고 말했다.
4·3 광풍 당시 김 할머니 가족은 중산간마을 소개령으로 인해 제주시 화북리 곤을동 마을로 옮겨갔다. 며칠 뒤 김 할머니의 아버지는 외양간에 두고 온 소를 살피러 다녀오겠다는 마지막 말을 남긴 뒤 행방불명됐다. 김 할머니의 어머니도 4·3 당시 목숨을 잃었으며, 언니와 동생마저 굶주림과 전염병 속에서 세상을 떠났다.
딥페이크 기술로 합성된 김 할머니의 아버지는 영상 속에서 "옥자야 아버지여. 하영(많이) 기다렸지. 이리 오라 우리 똘(딸) 얼마나 컸는지 아버지가 한번 안아보게"라며 두 팔을 벌려 다가왔다. 한평생 학살 고아로 살아오며 꿈에 그리던 아버지 모습이 재현되자 김 할머니는 눈물을 흘렸다.
손녀 한은빈 양이 김 할머니를 옆에서 보듬으며 위로했다. 한양은 "할머니의 시간은 여전히 5살에 머무르지만 그리움에 사무친 아버지 얼굴은 그 시간 속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10시 제주 전역에 1분간 울린 묵념 사이렌을 시작으로 제76주년 4·3추념식이 봉행됐다. 유가족과 정치권 인사 등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비가 내리다 그치기를 반복하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유족과 도민들은 행사장을 찾아 희생자를 추모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그 대신 한덕수 국무총리가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다. 정부는 4·3사건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해 화합과 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