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미혼 늘면 노동 공급 차질 불가피…"2031년, 경제활동참가율 꺾일 수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한은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
"미혼 인구 증가, 거시적 노동공급에 상당한 영향"
"혼인·출산율 높이고 미혼자 고용참여 유도해야"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결혼하지 않는 남녀가 지금처럼 계속 늘어날 경우 미래 노동 공급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미혼 인구 비중 증가는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에서 모두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미혼 인구가 늘면 고용률이 떨어지고, 평균 근로 시간도 줄어 노동공급 총량이 감소한다.
 
반면 여성은 오히려 미혼 증가가 경제활동 참가와 평균 근로 시간을 늘려 노동공급 총량이 증가한다.
 
한은 제공한은 제공
이렇게 성별에 따라 미혼 비중 확대의 영향이 다르지만, 과거 10년 사이에는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 효과가 더 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만혼과 비혼 등 결혼 행태 변화에 따른 미혼 인구 증가는 거시적 노동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며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제활동참가율 장기추세 전망. 한은 제공경제활동참가율 장기추세 전망. 한은 제공
한은이 혼인과 출산율 등을 고려해 노동공급 장기 추세를 추정한 결과, 30년 후 미혼 비중이 남성 60%, 여성 50% 수준에 이르게 되면 우리나라 경제활동 참가율은 2031년(79.7%) 정점을 찍고 이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미혼 증가는 출산율 감소로 이어져 미래 노동 공급에 큰 타격을 주게 된다. 한은은 이런 충격을 줄이기 위해 인구 미혼화 완화(혼인·출산율 제고)와 적응(미혼자 고려 노동 환경) 정책이 모두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청년층 취업난과 높은 주거비용 등을 해소하고 유연한 근로제도 등을 갖춰 MZ세대 등의 미혼자가 노동시장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는게 중요하다는게 한은의 설명이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5

새로고침
  • NAVER조중동낫언론2022-12-04 10:17:27신고

    추천2비추천0

    쇼하고 자빠졌네. 그럼 굥은 왜 수사 안하니? 아버지 집은 왜 안건드려?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부터 조져야지. 안그냐?

  • NAVER만엽2022-12-01 07:00:02신고

    추천8비추천0

    글쎄요.
    하늘같으신 선배검사님들을 과연 수사할수 있을까?
    언론에 보도됐던 박영수, 최재경, 권순일 사법거래의혹 등등
    못할것 같은데?
    이걸 한다면 인정이지.

  • NAVER마스터젠2022-11-30 20:02:27신고

    추천16비추천1

    흐지부지 유야무야에 한표..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