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미디어아트 '다다익선' 보존·복원 백서 발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백남준 연구서 '나의 백남준: 기억, 보존, 확산'도 출간

백서 '1003+1 국립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보존 복원 기록' 표지.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백서 '1003+1 국립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보존 복원 기록' 표지.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다다익선'의 보존·복원 백서가 발간된다.

국립현대미술관(MMCA)는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다다익선'의 보존·복원과 재가동에 이르는 3년의 치열했던 여정을 기록한 백서 '1003+1 국립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보존 복원 기록'을 발간한다고 28일 전했다.

'다다익선'은 3년간(2020~2022년) 보존·복원을 마치고 지난해 9월 15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재가동했다.

600쪽에 거쳐 1003+1개 항목으로 구성된 백서는 지난 3년간의 과정을 포괄한다. '다다익선'의 보존·복원은 △1003대 브라운관(CRT) 모니터 및 전원부 등에 대한 정밀진단 후 △중고 모니터 및 부품 등을 수급해 손상된 모니터 737대를 수리·교체했고 △더 이상 사용이 어려운 작품의 상단 6인치 및 10인치 브라운관 모니터 266대는 기술 검토를 거쳐 모니터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평면 디스플레이(LCD)로 제작·교체했다.

또한 △전원·냉각설비를 교체해 작품의 보존환경을 개선하고 △후대 전승을 위해 8개의 영상작품을 디지털로 변환·복원했으며 △보존처리 완료 후 6개월간 '다다익선'의 시험 운전을 통해 가동 시간별 작품 노후화 정도 등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운영방안을 머련했다.

백서는 비매품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과 과천의 도서실에 비치돼 누구나 확인 가능하다.

백남준 연구서 '나의 백남준: 기억, 보존, 확산' 표지.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백남준 연구서 '나의 백남준: 기억, 보존, 확산' 표지.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백남준 연구서 '나의 백남준: 기억, 보존, 확산'도 출간한다. 1977년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첫 백남준 개인전 기획자 바버라 런던, '다다익선' 구조물을 설계한 건축가 김원, '다다익선' 보존·복원을 담당한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권인철 등 국내외 연구자 11명이 참여했다.

연구서는 기억과 유산, 미디어아트와 보존, 담론의 확산을 주제로 백남준의 예술적 성취에 다각적으로 접근한다. 국문판과 영문판을 동시에 출간하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미술책방에서 누구나 구매할 수 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백남준에 대한 출판을 계기로 백남준 연구의 중요성이 국내외에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백남준의 업적을 다각도로 조명하기 위한 국립현대미술관의 의미 있는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