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생활물가 부담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교통과 육아는 물론 생활용품 관련 가격까지 전방위로 뛰고 있는 모습이다.
주방·욕실용품 절반 이상이 가격 상승…오른 품목 상승률은 18%
연합뉴스14일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의하면 11월 생활용품 27개 품목 80개 제품 중 절반을 넘어서는 41개 제품의 판매가격이 1년 전인 지난해 11월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인 21개 제품의 가격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고, 가격이 오른 제품의 평균 상승률은 18%나 됐다.
가사용품은 35개 제품 중 23개의 가격이 올랐다.
살균소독제, 섬유유연제, 섬유탈취제, 주방·세탁세제, 키친타월 등 주방과 욕실 관련 용품의 대부분이 가격이 상승하며 12.5%의 상승률을 보였다.
로션이나 바디워시, 비누, 생리대, 샴푸 등 위생용품은 43개 제품 중 18개 제품의 가격이 올라 제품 수는 적게 나타났지만, 평균 상승률은 25.2%로 가사용품을 크게 웃돌았다.
가공식품도 32개 품목 중 24개의 가격이 1년 전보다 15.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 요금도 상승세를 보였는데, 서울지역의 지난달 평균 목욕 요금은 1만원으로 지난해 10월의 8538원 대비 17.1% 상승했다.
세탁 요금은 8231원에서 8923원으로 8.4%, 이용 요금은 1만 1154원에서 1만 2천 원으로 7.6%, 미용 요금은 2만 385원에서 2만 1231원으로 4.2%, 숙박(여관) 요금은 4만 8846원에서 5만769원으로 3.9%가 각각 올랐다.
교통물가 상승으로 서민부담도 증가…도로여객 물가는 1998년 이후 최고 수준 상승
박종민 기자물가 오름세는 버스와 지하철 등 운송서비스와 육아관련 용품 가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의하면 지하철과 버스, 택시비 등 운송장비와 개인운송장비 운영, 운송서비스로 이뤄진 지난달 교통 물가지수는 117.48(2020년 = 100)로 나타났다.
지난 지난해 10월 대비 2.0% 상승한 수치인데, 올해 1월 2.9%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이 중 지하철과 버스, 택시, 항공요금 등 운송서비스 물가의 증가율은 9.1%로 평균 상승폭을 크게 상회했는데, 이는 2007년 4월의 9.3% 이후 무려 16년 6개월만의 최고치다.
특히 '시민의 발'로 불리는 대중교통수단의 물가 상승폭이 컸다.
시내버스료가 11.3%, 시외버스료가 10.2%, 택시료가 20.0%가 오른 탓에 이들을 포함하는 도로 여객수송 물가는 1998년 12월 이후 24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13.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도시철도료도 9.2%가 오르면서 철도 여객수송 물가도 2016년 6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 의하면 가계 교통비는 월평균 33만7천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9% 증가했는데, 철도운송 지출은 30.0%, 육상운송은 2만1천 원으로 14.2%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아동복·기저귀·분유 등 육아용품 가격 상승률도 최고수준
스마트이미지 제공
양육비 부담 또한 증가하며 출산율 제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의하면 영유아 가구의 소비가 많은 11개 상품·서비스 중 6개 품목의 1~10월 물가상승률이 전체 물가상승률인 3.7%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동복의 경우 1~10월 물가상승률이 12.1%를 기록했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85년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기저귀가격도 9.6%의 상승률을 보였는데, 1998년의 10.6% 이후 25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우유 원유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분유 가격도 6.3%의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2년의 8.1% 이후 11년만의 최고치다.
유아용 학습지 교재는 7.5%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동화 가격은 6.3%로 2008년 이후 15년 만에, 산후조리원 이용료는 5.2%로 2011년 이후 12년 만에 각각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는 11개 육아용품의 가중치를 육아가구 중심으로 산정한 육아물가지수를 개발해 2013년부터 발표했지만, 관련 예산 삭감으로 2020년부터는 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