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왕의 소통 공간, '광화문 월대' 전체 모습 확인…"10월 복원 완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문화재청 "복원 위한 실물자료 확보가 가장 큰 성과"
동구릉 등에 이전된 난간석 등 재사용해 복원
오는 10월 복원공사 마무리…'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해 기념 행사

문화재청 제공문화재청 제공
조선의 마지막 왕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 광화문 월대의 전체 모습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9월부터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가 광화문 월대의 복원․정비를 위해 진행 중인 발굴조사의 성과와 향후 복원계획을 25일 공개했다.

월대는 궁궐‧정전과 같이 중요 건물에 넓게 설치한 대(臺)로, 궁궐 정문에 난간석을 두르고 기단을 쌓은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하다.

'경복궁 영건일기'의 기록과 1890년대 이후로 전해지는 사진자료에 따르면 광화문 월대는 길게 다듬은 장대석을 이용한 기단석과 계단석, 그리고 난간석을 두르고 내부를 흙으로 채워 만든 건축구조물이다.
 
경복궁 영건일기는 1865년 4월 1일부터 1868년 7월 4일까지 3년 3개월의 경복궁 중건공사를 한성부 주부 원세철이 기록한 일기다.

이 일기에는 "1866년 3월 3일 광화문 앞에 월대를 쌓았다. 모군이 궁 안에 쌓아둔 잡토를 지고 왔는데, 실로 4만 여 짐에 이르렀다"고 기록돼 있다.

광화문 월대는 동·서 외곽에 잘 다듬어진 장대석(길이 120~270cm, 너비 30~50cm, 두께 20~40cm)을 이용해 2단의 기단을 쌓고, 그 내부는 서로 다른 성질의 흙을 교차로 쌓아 주변보다 높게 대를 만들었다.

월대의 남쪽에는 장대석을 이용해 계단을 만들었고, 그 중 어도와 연결되는 중앙부는 소맷돌을 이용해 동·서 계단과 분리했다.

특히 어도계단지의 경우 일제강점기 전차선로에 의해 일부 훼손됐으나 소맷돌을 받쳤던 지대석이 확인돼 월대의 원형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문화재청은 밝혔다.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의 복원을 위한 실물자료를 확보한 것이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1920년대에 훼손된 이후 동구릉 등에 이전돼 있던 월대의 난간석 등 부재를 재사용하는 등 전문가와 함께 전통재료·기법을 적용해 월대를 복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복원공사가 마무리되는 오는 10월에는 광화문 월대 복원 기념행사가 '궁중문화축전' 등과 연계해
개최될 예정이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