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기습 철거 걱정 속 뜬 눈으로 밤새운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강제 철거 위협 속 난방도, 전기도 부족하지만
유가족 "철거 위협에도 계속 분향소 지킬 것"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구본호 기자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구본호 기자 
서울시의 이태원 참사 서울광장 분향소 행정대집행이 유가족들의 반발 끝에 무산됐지만 기습 철거를 우려한 유가족들은 밤새 뜬 눈으로 분향소를 지켰다.

제대로 된 난방과 전기시설조차 없던 탓에 한겨울 추위와의 사투를 벌여야 했던 유가족들은 끝까지 분향소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16일 오전, 서울시청 광장 앞 차려진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 옆 천막에서 눈가에 피로가 가득한 유가족 10여 명이 추모객들을 맞이했다.

분향소로는 꽃다발과 화분, 국화 등 조화들이 수북하게 쌓여져 있었고 분향소를 지나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유인혜(27, 서울 광진구)씨는 "출근 길에 가능하면 꼭 한번이라도 들러 애도를 하고 간다"며 "누구의 잘못을 떠나 자식과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의 슬픔을 대변할 수 있겠냐"고 애도한 뒤 자리를 떠났다.

비록 서울시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에게 통보했던 분향소 자진철거 시한인 전날(15일) 오후 1시를 넘겼지만, 서울시는 아직까지 강제 철거를 강행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전날 오후 경찰이 분향소 주변에 예고없이 차단벽을 설치해 항의하던 유가족 1명이 다치기까지 하는 등 갈등이 이어지고 있어 유가족들은 밤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었다.



밤사이 영하로 떨어진 날씨는 가스난로 하나로 난방을 해결해야 했던 유가족들을 더 힘들게 했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이종철 대표는 "행패 부린 사람들은 없었지만 밤새 걱정 돼 한 잠도 못잤다"며 "밤새 10여명이 가스 난로 하나로 난방을 하고 분향소를 지켰는데, 옆 텐트 자원봉사자분들은 난로도 없이 지냈다"고 호소했다.

유가족들은 발전기 한 대만을 이용해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밤에는 분향소 조명을 켜야하는 탓에 개인 용도로는 전기를 쓸 수 없어 휴대전화 불빛에 의존하고 있다.

자원봉사자 천막에 온수통은 놓여있지만, 전기가 부족해 물을 데우지 못한 탓에 간혹 물을 찾는 추모객들에게 유가족은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냉수만 건네곤 했다.

전날 이후 유가족과 경찰간 별다른 충돌 상황은 없었지만, 경찰은 분향소를 에워싸고 4~5m 간격마다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 경찰버스와 차량들로 '차벽'까지 빽빽하게 세웠기 때문에 분향소 앞을 찾아 걸어가지 않으면 바깥을 지나는 시민들로서는 분향소가 어디 있는지 알아보기도 어려울 지경이다.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구본호 기자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구본호 기자 
인근 편의점에서 일하는 김효원(25.서울 용산구)씨는 "분향소를 기사를 보고 최근에 알게 됐고 차단벽은 공사하는 걸로 알고 있었다"며 "근처에 일하는 사람도 잘 모르고 분향소 주소가 나오는 것도 아닌데 추모를 하려고 오는 사람들도 찾기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떠나보낸 자녀와 가족들을 위해서라도 분향소를 끝까지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이종철 대표는 "우리가 여기서 얼마나 오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기다려 보겠다"며 "저희들을 협박하고 (분향소를) 철거하겠다니 의미없는 기다림 같기도 하지만, 계속 저희들을 겁박한다면 자식을 잃은 부모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행동하는지 전 국민들에게 보여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5

26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3

새로고침
  • NOCUTNEWSleonard2021-04-23 04:49:56신고

    추천0비추천0

    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 NOCUTNEWSleonard2021-04-23 04:48:50신고

    추천0비추천0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

  • NOCUTNEWSleonard2021-04-23 04:47:48신고

    추천1비추천0

    양반제도는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하신(유교경전 시경:天生蒸民)이후, 인간이 과거제.관리등용제를 만들어내서, 중국의 관리등용방법이 고려 유교.조선유교의 유교교육.과거제.관리등용제를 통해 형성된것.

    명절,제사,24절기,한자사용,한문성명등 수천년 동아시아 유교문화는 그대로 체화되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