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미호강' 명칭 논란 종지부 찍겠다" 충북도, 내년도 고증 예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새로운 미호강 시대 앞두고 일부서 명칭 일제 잔재 주장
동진강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에 찬반 의견 엇갈려
현실적으로 어려운 명칭 변경 상황서 충북도 객관적 고증 추진

충북도 제공충북도 제공
최근 충북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급부상한 '미호강'의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부에서 뒤늦게 커지고 있다.  

일제 잔재라는 주장인데,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자 충청북도도 고증을 통한 조기 수습에 나서기로 했다.

2일 충청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미호강'은 전국 73개 국가 하천 가운데 20번째로 '천'에서 '강'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여기에 충청북도가 2032년까지 '맑은 물 사업'을 위해 65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예고하면서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런데 때를 맞춰 세종을 중심으로 '미호강'이라는 명칭을 일제가 지었으니 원래 이름인 '동진강'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최근에는 '동진강'도 전체 '미호강'의 극히 일부에 해당하는 현재 세종 일부에서만 불렸던 이름으로 바람직 하지 않다는 등 반대 의견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호강은 충북 음성군 삼성면 망이산성에서 발원해 진천과 청주, 세종의 동쪽을 거쳐 금강 본류로 합류하는 길이 89.2㎞의 금강수계 가운데 가장 큰 하천이다. 

더욱이 당장 명칭을 변경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

미호천에서 미호강으로 이름을 바꾼 지 불과 반 년도 지나지 않은 데다 전북에서 이미 동진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데, 아직까지 국내에서 중복된 강 명칭을 고시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다.

결국 충청북도는 괜한 논란만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객관적인 검증으로 서두르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 모두 16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충북학연구소를 통해 1년 동안 미호강 명칭에 대한 고증 등 연구 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새로운 충북의 미호강 시대를 앞두고 이번 고증이 명칭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지, 아니면 오히려 명칭 변경 주장에 기름을 부을 지 주목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일부 단체의 주장처럼 '미호'라는 명칭이 실제로 일제 잔재인지 확인하는 용역이 될 것"이라며 "최종 명칭 변경 여부 등은 고증 결과를 지켜본 뒤에나 여론 수렴 과정 등의 절차를 거쳐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31

새로고침
  • NAVER시작과끝2021-12-07 08:46:52신고

    추천2비추천3

    가야할곳은 안가고 남이 차려놓은 밥상에
    숫가락 얹기 잘하네

  • NAVER풀꽃향기2021-12-07 04:46:43신고

    추천21비추천4

    국가위상과 문화적수준은 최상위권을 유지하는데 언론과 경재관료를 장악한 세력이 자신들이 아주 특별한 권력으로 나라와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비하하고 왜곡하여 온 국민을 개 돼지 취급을 하고 있지요.
    친일잔재를 처벌하지 못한 우리 사회가 안고갈 과오입니다.
    우리 대한민국의 최대 과제는 사주언론과 부를 축척한 핀일파 잔재들과 경제관료의 개혁이 최대 과제 일것 같습니다.

  • NAVER반계다석2021-12-07 04:03:02신고

    추천28비추천9

    아는 사람은 다 압니다 너무 수고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고 강건하셔서
    우리국민 곁에 계속 남아주시길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