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싣는 순서 |
①제주 짧아진 봄가을 뜨거워진 바다…기후위기 공포[영상] ②금요일 지구촌선 무슨일이…기후행동 나선 청소년들[영상] ③꿀벌 실종 미스터리…동행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영상] ④카누도 타고 쓰레기도 줍고…기후보호 이색활동[영상] ⑤이산화탄소 내뿜는 비행기 타고 휴가? 기후학교의 고민[영상] ⑥'우리는 행동한다' 모두가 책임자고 관리자인 기후학교[영상] ⑦'지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기후·환경위해 올림픽 포기[영상] ⑧기후피해 빈곤층·동물에 집중…그래도 희망은 있다[영상] ⑨로드맵도 비전도없는 기후교육 미래세대는 운다[영상] (계속) |
서울 탑산초 정용주 교사가 기후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인 기자우리나라에서도 기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인지를 고민하는 교사들은 많다.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교사 모임'에 200여 명의 전국 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는데 매주 화요일이면 기후와 법, 동물의 먹거리와 기후 등의 다양한 주제로 토론을 하거나 강의도 공유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후교육은 교사들의 개인기에만 의존하고 있다. 꾸준히 고민하고 준비한 교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과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체계적인 기후교육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기후교육에 대한 교육부의 지침이나 로드맵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서울 창덕여고 정미숙 교사는 "기후위기나 탄소중립 시범학교를 진행하는 곳은 소수에 불과하고 모든 학교에서 다 같이 할 수 있는 로드맵이 없다"며 "학교마다 현실이 달라 일률적으로 할 수는 없겠지만 기후교육이 중요한 과제인 만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던가 학교 자체적으로 논의해서 이런건 해야 한다 등의 지침이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독일은 환경문제를 비롯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전체 교육의 상위 목표이고 학교 시설부터 교과 수업까지 모든 교육과정을 관통하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의 환경교육을 총괄하는 프라우 세액. 류도성 기자
서울 탑산초 정용주 교사는 "독일의 연방정부가 교육기본법을 통해 초중등 교육의 목표를 지속가능성으로 정하고 국가, 계층, 문화의 지속가능성은 물론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동식물과 공존을 지속하는 체제를 만들자는 개념을 잡아줬다"고 설명했다.
정 교사는 "독일의 교육방식이 어떤 주제를 갖고 어떻게 가르쳐야 한다는 그런 차원이 아니고 같은 내용을 가르쳐서 같은 결과를 내야 한다는 접근도 아니다"며 "우리도 어떤 내용을 가르칠 것인가보다는 교육 과정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서 학생들이 어떻게 변화하길 바라는지 등의 길고도 큰 그림을 갖고 기후교육의 개념을 잡아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교육부가 기후교육의 큰 그림을 그려주되 학교에서의 수업이나 프로젝트 실행은 교사들에게 자율성을 주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정용주 교사는 "교육과정의 통합성을 강화할 수 있는 블록을 만들어주고 교사의 자율성으로 그걸 채우게 해야 한다"며 "'교과시간은 몇 시간을 해야 한다'등의 방식이 아닌 자율성을 부여하고 어떤 주제를 스스로 만들어 지속하게 하면 또 교사들끼리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하나의 모델을 만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독일 함부르크의 기후교육을 총괄하는 비욘 폰 클라이스트. 류도성 기자실제로 독일은 우수 프로젝트 3500개 이상이 인증돼 학교에서 활성화되고 있고 지역사회로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기후교육을 전문적으로 진행할 교사 양성은 필수적이다.
정미숙 창덕여고 교사는 "기후교육을 하려는 교사들도 과학적인 지식이나 국제 협약 등도 알아야 하고 국가차원의 정책과 실천에 필요한 사항도 뭔지 파악해야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며 "해도 좋고 안해도 좋은 문제가 아닌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연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용주 탑산초 교사도 "독일은 교사를 성장시키고 구조를 만들어주지만 우리는 좋은 교재나 학습지를 제공하며 교사들이 활용하길 바란다"며 일회성에 그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후교육도 독일은 역량있는 교사를 키우는데 집중해 가령 기후위기와 생태계의 관계를 모든 교육활동에 반영하며 어떤 수업과 프로젝트를 진행할지 교사 스스로 만들어 낸다"고도 했다.
독일 함부르크의 '교사훈련과 학교 개발을 위한 주립연구소'. 이곳에서 기후교육과 환경교육을 전담할 교사를 양성한다. 류도성 기자독일 함부르크에는 '교사훈련과 학교 개발을 위한 주립연구소'가 기후학교와 환경학교를 전담하는 교사까지 두고 기후교육을 위한 연수도 전문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이 과학과 사회과목에서만 일시적으로 기후 문제를 다루는 것도 개선돼야 한다.
정미숙 창덕여고 교사는 "과학 교과서에 기후변화의 진행속도와 구체적인 피해는 빠진 채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나 영향 등을 피상적으로 가르치면서 자꾸 환경오염만 얘기하다 보니 지겹고 뻔하게 생각하는 고등학생들이 많다"고 말했다.
정 교사는 "모든 교과서가 기후문제를 다루는 통합적이고 간학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고 우리가 함께 변화시켜야 할 것들은 뭔지, 삶의 방식을 바꾸기 위해 어떤 미션이 필요한지 등의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연계수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독일의 경우 한 학기에 한 주제를 일주일간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모든 교과들이 협력하는 전공 포괄적이고 간학문적인 학습을 20년 넘게 진행해 왔다"며 "기후와 관련한 복잡한 연결 고리들을 풀어 내려면 역동적이고 협력적인 프로젝트가 필요한데 우리는 그냥 일회성 수업에 그치고 있다"고 전했다.
2050년이 되면 바다속에 물고기보다 캔이 더 많아질 거라고 경고한 독일 학생의 포스터. 류도성 기자정용주 탑산초 교사도 "교과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학교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로드맵이 있어야 하지만 우리는 수업을 잘하는 교사들의 개인기에 머물러 있다"며 "기후교육이 구조화되지도 않고 교과 전체로도 확산이 안되면서 각 교과는 따로 놀고 자투리 시간을 내야 가능한 교육 방식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라는 주제를 수학과 국어, 미술 등 모든 교과에 녹여내면 하나의 프로젝트가 되고 통합적인 교육이 이뤄진다"며 "단순한 교육과정이 아닌 학생들이 학교에서 지내는 동안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고민케 해야 한다"고 밝혔다.
독일처럼 모든 교과서에서 기후와 환경문제를 다루는 것은 물론 다양한 연계수업과 프로젝트를 통한 기후교육이 이뤄져야 하고 지역과 연계해 학교밖 실천으로도 이어져야는 것이다.
지난 9월 24일 서울 기후정의행진에서 한 시민이 기후대응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독자 제공이를 위해선 전국 교육청에 따라 각각 다른 용어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의 통합도 중요하다.
정용주 탑산초 교사는 "생태전환교육과 민주시민교육, 환경교육, 기후위기 교육 등으로 각각 다르게 진행되고 있는 교육의 통합이 필요하다"며 "당장 용어를 통일하기 보다 독일처럼 지속가능성의 개념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하고 환경교육부터 기후위기 교육까지 상호 창조와 확정을 통해 연계성과 통합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기적 성과위주에 치중하는 것도 우리나라 기후교육의 문제다.
정용주 탑산초 교사는 "기후교육이 짧은 시간에 다룰 수 있는게 아니고 긴 시간이 필요한데 우리는 대부분의 교육이 단기적인 성과주의에 치중한다"고 지적했다.
정미숙 창덕여교 교사 역시 "우리나라 환경교육이 시범학교 위주로 하다가 단기적으로 이런 저런 성과들이 있었다고 잠시 시늉만 내는 방식이어서 끝나면 흐지부지 되고 전체적으로 확산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지난 9월 24일 서울 기후정의행진의 한 장면. 독자 제공효율적인 기후교육이 이뤄지려면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용주 탑산초 교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이 독립성을 유지하며 교육청은 학교 교육에만 신경쓰고 학교 밖을 나가는 건 지자체가 챙기다보니 연계와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독일 함부르크처럼 기후위기와 관련한 좋은 프로그램들이 학교 밖을 넘나들며 그 지역에 있는 훌륭한 인프라와 연결되고 실행할 수 있는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미숙 창덕여교 교사는 "규정에 따라 각 학교마다 학생까지 참여하는 에너지위원회나 기후위원회를 구성해야 하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고, 냉난방기는 특정 온도 이상으로 틀지 말라는 지침도 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며 기본적인 것도 지켜지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꿈도 꾸지 못하는 현실을 꼬집었다.
그는 "독일인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해 기후위기를 윤리적 문제, 실행의 문제, 교통의 문제로 보며 자전거 타기와 재생에너지 전환을 실행하고 심지어 옷을 살 때도 탄소 배출에 대한 죄책감을 느낄 정도로 내면화돼 있다"고 밝혔다.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기후교육이 학교 밖 실천으로 이어지고 지역사회로까지 영향을 주는 기후위기 대응의 첫 걸음이라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인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