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사진기자단윤석열 정부가 출범한지 불과 100여일 만에 집권 여당 지도부 공백 사태에 이어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 논란에 휩싸이며 혼돈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차기 총선 공천권을 두고 당‧정‧대 내부의 권력 분화가 겹치면서 윤 대통령이 신속히 매듭을 짓고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 정부는 정권 초반부터 이른바 '이준석 사태'로 인한 지도 체제 혼선과 대통령실 내부 감찰 관련 권력투쟁 등 각종 난제에 처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윤 대통령이 이 전 대표와 다소 껄끄러웠던 관계인 점을 고려하면 여권 내부 혼선은 일정 부분 예상된 사태라는 측면도 있다.
문제는 예견된 사태가 발생했음에도 대응이 미흡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윤핵관'들의 실책이 이어지며 정권 초반 대통령의 기반이 흔들리는 결과는 낳았다. 인적쇄신을 계기로 시작된 대통령실 내부 비서관급 이하 감찰은 마무리 수순으로 접어드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윤핵관 라인으로 입성한 직원들을 표적으로 삼았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일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감찰 초반에 정무수석실과 시민사회수석실 쪽 직원들이 많이 떠났는데, 감찰이 각 부서별로 이뤄지다보니 부각된 것"이라며 "상시 감찰이라는 대원칙 하에 진행되고 있고 이번 감찰은 거의 마무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공교롭게도 이번 내부 감찰을 통해 윤핵관들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김대기 비서실장 등 용산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의 입지는 확대된 모양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능력주의'에 방점을 둔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 운영에 필요한 참모와 대선 이후 논공행상을 명확히 구분해 재정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9일 사퇴한 홍지만 전 정무1비서관과 경윤호 전 정무2비서관의 후속 인선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국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정무1비서관에는 전희경 전 의원을, 전략기획을 맡게 될 정무2비서관에는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20대 국회 비례대표를 역임한 전 전 의원과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 전략기획팀장으로 활동한 장 국장을 영입해 실무적이 정무라인으로 개편하겠다는 취지로 관측된다.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상임전국위원회에 권성동 원내대표가 참석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당 윤리위 징계 이후 장외 여론전을 펼치고 있는 이 전 대표에게 일격을 당한 국민의힘은 1차 비대위 실패 이후 2차 비대위 구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상임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 전환 요건인 '비상상황'을 명확히 규정하는 당헌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오는 5일 전국위원회의 최종 의결을 거쳐 명절 전까지 새 지도부인 비대위를 세우겠다는 전략이다.
여당 지도 체제를 놓고 잡음이 길어지면서 원조 '윤핵관'으로 꼽히는 권성동 원내대표와 장제원 의원 등도 최근 2선 후퇴 의사를 밝힌 상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으로서 당무에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선을 그었지만, 이번 사태를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이들 윤핵관에게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추석 명절 직후 2차 비대위 구성이 완료되더라도 당분간 진통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당내 주도권 투쟁의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일정 부분 교통정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 중진의원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정치에 대한 이해도가 아직 낮아서 혼란이 얼마나 길어질지 모른다"며 "확실히 주도권을 쥐고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 관계자는 통화에서
"윤핵관들이 지금은 후퇴한 것처럼 보이지만 일종의 '위장 후퇴' 아니겠냐"며 "윤 대통령 입장에서도 결국 그나마 신뢰 관계가 있는 윤핵관들과 향후 총선 준비를 도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