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자담배도 초미세먼지 유발…"3m 이상 거리 둬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임영욱 교수 '간접흡연 실외노출평가 연구'
액상형 전자담배, 확산거리 가장 길어…블랙카본 농도는 全제품 ↑

연합뉴스연합뉴스
담배 흡연이 아닌 전자담배 사용 시에도 대기 중에 배출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가 다른 담배 제품들보다 미세먼지를 더 많이, 더 먼 거리까지 뿜어내는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은 21일 국내 최초로 시행된 '간접흡연 실외 노출평가 실험연구'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임영욱 교수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실외 흡연을 가정해 △궐련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흡연자를 기준으로 각각 3m, 5m, 10m 간격을 두고 이뤄졌다. 담배 종류별로 연기나 에어로졸(공기 중 미세입자)이 이동하는 것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공기 중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PM1.0), 블랙 카본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대기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인 흡입성 먼지 중 입자의 지름이 10㎛ 이하인 것을 미세먼지, 2.5㎛ 이하인 경우를 초미세먼지로 분류한다.
 
블랙 카본은 석탄, 석유, 나무 등 탄소를 포함한 연료가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그을음으로 자동차 매연에서 나오는 검은 연기에 들어가 있다. 장기간 흡입하면 폐기능과 인지능력 저하가 유발되며 크기는 2.5㎛ 수준이다.
 
실험 결과,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담배 흡연·사용자로부터 3m, 5m, 10m 떨어진 곳의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농도가 해당 제품 흡연·사용 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농도보다 높았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초미세먼지 농도와 확산 거리는 액상형 전자담배가 1위에 올랐다. 개비당 초미세먼지는 액상형 전자담배(172,845㎍), 궐련(14,415㎍), 궐련형 전자담배(3,100㎍) 순으로 파악됐다.
 
확산 거리는 액상형 전자담배 > 궐련형 전자담배 > 궐련 순으로 멀리 퍼져 나갔다. 복합악취 강도는 궐련이 가장 강했고, 액상형 전자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가 뒤를 이었다. 전자담배가 궐련에 비해 냄새와 불쾌감이 덜하다는 뜻이다.
 
블랙 카본의 농도는 모든 담배 제품이 사용 후 더 높았다. 전자담배도 예외는 아니었다. 차례로 궐련(523㎍/개비), 액상형 전자담배(98.8㎍/개비), 궐련형 전자담배(11.41㎍/개비) 순이다. 상대적으로 악취가 덜한 전자담배도 유해물질이 배출돼 간접흡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병청은 "따라서 전자담배를 사용할 때에도  유해물질 배출에 따른 간접흡연 피해를 유의해야 하며, 실내사용도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거리는 '최소 3m 이상'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흡연 시 풍향에 따른 담배 연기 확산모형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로부터 2m 이상 떨어져 있을 때엔 유해물질 농도가 상당수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초속 1.8m 정도의 미풍이 부는 환경을 가정했을 때 액상형 전자담배와 궐련은 100m 이상까지도 대기 기준농도를 초과한 초미세먼지 농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는 10m 이상 거리에서 대기 기준농도 이하로 감소했다.
 
당국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울 때 연기의 25%만 마시고 75%를 배출시킨다는 점을 들어 이때 마신 연기는 들어온 공기와 다시 혼합되어 배출되고, 담배연기의 90%가 공중에 퍼져 주변에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간접 흡연은 태아 발육을 억제하고 영아 돌연사 증후군, 아동 기관지천식·중이염을 유발하는 한편 폐암 등 각종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혈관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앞서 지난 1992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간접 흡연이 폐암의 원인이라고 규정했다. 미국에서만 매년 3천 명 이상이 간접흡연으로 인한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전자담배에서도 블랙 카본 등 유해물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해 담배 흡연뿐 아니라 전자담배 사용에 따른 간접흡연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1

4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6

새로고침
  • NAVER랄지노노2022-07-23 00:31:17신고

    추천1비추천0

    뉴스기사를 인용하면 (이동하는 것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공기 중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PM1.0), 블랙 카본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카메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카메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한다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가막힌다 그죠?
    세상 좋아졌네요 카메라로 공기중 분석도 가능하고 좀있으면 안개도 몸에 유해하다고 뉴스기사 나와야하는데 그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AVERTOni2022-07-22 14:33:59신고

    추천0비추천0

    재밌네요
    국가에 세금 부족할때마다
    전자담배 액상이 마치 연초보다 안좋다는 듯이 하시고
    다시 연초로 돌아가게 하실려는 목적 아니신가요?
    적당히좀 하세요.

  • NAVER고래벱2022-07-21 18:01:16신고

    추천0비추천0

    신박한 헛소리네요.
    가습기틀고 초미세먼지 한번 측정해보세요.
    에어로졸이던 연기던 그안에 성분을 조사해야지 얼마나 멀리나가는지가 중요합니까??
    차악을 막기전에 최악부터 막을생각을 해야지...
    아무것도 안하는게 제일 좋겠지만 전자담배가 연초담배보다 더 유해하다는 기사는 이제 지겹네요
    지금 때가 어느때인데 우민화하려는지.....
    로그인하게 하려는 어그로인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