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것도 배려? 일상 속 '흔한' 배려의 흔적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편집자 주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가 우리 사회 혐오의 정점이었기를 바라는 간절함이 많다. 더 심각한 혐오와 갈등은 모두의 불행이다. 대전CBS는 새 정부가 '혐오를 넘어 배려의 시대'로 기억될 수 있도록 또한 우리 사회가 일상 속 배려를 인식하고 실천하길 바라는 기획 보도를 마련했다. 2020년 7월 보도된 <혐오리포트>의 후속으로, 배려가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각 분야에서 누구나 실천하고 있지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쉽고 다양한 '일상 속 배려'의 모습을 정리해봤다.

[혐오의 시대, 배려를 디자인하다⓶]도시건축·공동체가 추구하는 '모두를 위한 삶'

다른 그림을 찾아보세요. 유니버설 디자인(UD)이 적용된 아래 모습은 어떤 점이 다를까요. 경사로는 물론 놀이터 조경수,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출입문의 유리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칠판 등 일상 속 작은 배려가 우리 모두의 행복이 될 수 있습니다. 충북종합사회복지센터 제공다른 그림을 찾아보세요. 유니버설 디자인(UD)이 적용된 아래 모습은 어떤 점이 다를까요. 경사로는 물론 놀이터 조경수,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출입문의 유리창,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칠판 등 일상 속 작은 배려가 우리 모두의 행복이 될 수 있습니다. 충북종합사회복지센터 제공
▶ 글 싣는 순서
①사람 : "너와 나 모두가 만족하는 것"…배려, 곧 품격이 되다
도시 : 이런 것도 배려? 일상 속 '흔한' 배려의 흔적들
(계속)

#1. 출입문 손잡이의 변화에는 배려가 숨겨져있다. '잡아서 돌려야하는' 동그란 손잡이의 한계를 넘어선 게 누르면 열리는 막대형 손잡이다. 하지만 두 손잡이 모두 왼손 사용자에게는 역방향이란 불편을 초래했다.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손잡이가 보편화되고 있는 이유다.
 
#2. 충남도청·세종충남대병원 로비 한 켠에는 반질반질함 대신 거친 대리석 복도가 있다. 거울처럼 비치는 화려함을 포기한 이유 속에도 배려는 있다. 장애인은 물론 고령층과 유아 등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막기 위함이다.
 
장애인에 국한됐던 사회적 약자의 대상이 최근에는 고령층을 비롯해 임산부와 유아 동반 부모, 한국말을 모르는 외국인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정 계층에 집중하던 배려 역시 우리 모두를 위한 것으로 넓혀가고 있다.
 
손잡이의 변천에도 배려의 흔적이 숨어있다. '잡아서 돌려야' 하는 원통형 손잡이는 손이 필요하지만 막대형은 손이 없어도 열 수 있다. 하지만 둘 모두 오른쪽으로 돌려하는 탓에 왼손 사용자에게는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가볍게 밀거나 혹은 옆으로 열 수 있는 미닫이문(sliding door)을 사용하는 곳도 늘어가는 추세다. 신석우 기자손잡이의 변천에도 배려의 흔적이 숨어있다. '잡아서 돌려야' 하는 원통형 손잡이는 손이 필요하지만 막대형은 손이 없어도 열 수 있다. 하지만 둘 모두 오른쪽으로 돌려하는 탓에 왼손 사용자에게는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가볍게 밀거나 혹은 옆으로 열 수 있는 미닫이문(sliding door)을 사용하는 곳도 늘어가는 추세다. 신석우 기자
'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BF:Barrier Free)에서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UD: Universal Design)을 적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신축 및 개보수 공공건물과 시설에 UD 적용을 의무화했고 대전시 역시 지난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3. 계단 옆에 경사로를 설치하도록 한 일명 경사로법 역시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다. 휠체어 뿐 아니라 유모차도 자전거도 고령층도 맨몸의 보행자도 '모두가' 수월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
 
계단과 함께 설치된 경사로는 휠체어 뿐 아니라 자전거와 유모차, 고령층 등의 비장애인까지 모두를 위해 디자인된 도심 속 공간이다. 계단과 함께 설치된 경사로는 휠체어 뿐 아니라 자전거와 유모차, 고령층 등의 비장애인까지 모두를 위해 디자인된 도심 속 공간이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은 도시 공간에만 제한되지 않고 공동체와 일상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4. 대전대학교 LINC+ 사업단은 지난해 BF와 ICT 융합기술을 적용하는 리빙랩을 운영했다.
 
지역 장애인 복지관의 목소리를 담아 높낮이와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스마트 거울'과 샴푸와 린스를 구분할 수 있는 '스마트 펌핑기'를 제작했다.
 
계신웅 교수는 "ICT 기술을 활용해 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했지만, 결과적으로 어린 아이부터 고령층까지 모든 세대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 됐다"고 밝혔다.
 
따뜻한 메이커연구소(주)는 대전맹학교와 연계해 3D 졸업앨범을 제작하고 있다. 졸업생의 흉상을 3D 프린터로 출력해 시각장애인들이 서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로 지난 2018년 이 후 5년째 이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택배 노동자들을 위해 무거운 짐은 나눠서 주문하는 소비자, 화장실을 개방하는 기관과 기업 등 '어렵지 않은' 일상 속 배려의 모습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