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 PCR 기기인 'STANDARD M10'. SD바이오센서 제공코로나19 팬데믹으로 '초호황'을 누린 체외진단 기업인 SD바이오센서가 경기 수원시 내 법인지방소득세 순위에서 삼성 계열사를 제치고 2위 자리를 꿰찼다.
수원 법인지방세 2위 등극, 삼성계열 누르고 '우뚝'
1일 수원시의 '2021년도분 법인지방소득세' 추계 결과에 따르면, SD바이오센서에 부과 예정인 세액은 110억 원으로 지역 내 상위 5대 기업 중 부동의 1위인 삼성전자(2150억 원)에 이어 2위다. 다음은 삼성전기(98억 원), 한국은행(54억 원), 경기주택도시공사(47억 원) 순이다.
이전까지 수원 소재 법인들의 지방소득세 순위에서 줄곧 삼성전기가 차석을 지켜오다, 이번에 SD바이오센서에게 자리를 내주게 됐다.
그간 상위권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SDI 등 삼성 계열사와 SKC, CJ제일제당 등 굴지의 대기업들이 석권해왔다. 의료분야 중소기업인 SD바이오센서가 지역에서 2년 연속 5대 기업에 들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번에 추산된 SD바이오센서의 법인지방소득세는 지난해 3위를 기록한 징수액(55억 원)의 2배 규모다. 2년 전까지는 징수액이 십만 원도 채 안 되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법인지방소득세는 기업이 연간 소득에 따라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내야 하는 지방세로, 법인세에 부수적으로 붙는 부가세다. 기업의 지자체 세수 기여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충북 오송에 있는 SD바이오센서의 공장 모습. 본사는 수원시 영통구에 위치해 있다. SD바이오센서코로나19 진단키트 '불티'…신성장 동력 관건
SD바이오센서(창업주 조영식 의장)는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9월 항원 신속 진단키트로 WHO(세계보건기구)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해 주목받았다. 항원 신속 진단키트로는 세계 최초였다.
이 진단키트는 콧물 등으로 감염 여부를 15분 만에 판별하는 제품으로, 특히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 등 대유행이 거듭될 때마다 폭발적인 매출 신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세계 최초 WHO 긴급사용 승인을 받은 SD바이오센서의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 SD바이오센서 제공
SD바이오센서의 재무제표를 보면, 지난해 매출액은 2조 9300억 원으로 3조 원에 육박한다. 영업이익은 1조 3640억 원이다. 전년 대비 '더블링(2배 증가)' 수준이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매출액은 737억 원이었다. 여느 기업보다도 코로나19 특수를 크게 누린 셈이다.
다만, 실적 유지에 대한 부담과 고민도 뒤따른다. 코로나19를 풍토병으로 여기는 이른바 '엔데믹' 체제로 가면서 그동안의 특수를 대체할 신성장 동력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최근 공격적 투자에 나서는 이유가 여기 있다. 글로벌 바이오 기업 인수합병과 부동산 매입 등 투자 영역을 넓히면서 진단 제품을 다각화하겠다는 게 SD바이오센서의 전략이다.
이효근 SD바이오센서 대표이사는 "수원에 근간을 두고 성장함으로써 더욱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는 전 세계 유통망을 확보하고 신속 PCR 기기 'STANDARD M10'을 기반으로 한 검사 메뉴를 확대해 현장진단 시장을 공략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제조 중심 '수원', 먹을거리 다각화 기대
수원의 산업 생태계가 삼성전자를 축으로 전기전자 업종 중심으로 조성돼온 가운데, 기존과 다른 분야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신규 유망 업종을 발굴·육성해 산업을 다각화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수원의 업종별 기업현황(4월 1일 기준)에 따르면 지역 산업의 65%는 전기, 전자, 기계 업종에 치중돼 있다. 의료정밀이나 섬유의복 등은 10%대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SD바이오센서 외에도 진단키트·세정제를 취급하는 레피젠을 비롯한 마스크 제조업체 등 수원에 위치한 상당수 법인이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며 지역의 세수 증대에 기여했다.
이 같은 실적은 납부세액에 고스란히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수원시 법인지방소득세 납부액은 2020년 1959억 원으로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반토막이 났지만, 이듬해에는 2313억 원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정 업종에 치우치면 코로나 사태와 같은 대형 변수에 타격을 받기 쉬운 만큼, 보다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함으로써 지역 기업경제의 '내성'을 키워야 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염병 확산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승화한 업종들을 감안해 지역 산업의 편중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성장성 있는 분야를 찾아내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자체의 행정력도 중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